‘원인불명 폐렴’ 5년간 472명 숨져

‘원인불명 폐렴’ 5년간 472명 숨져

입력 2011-05-17 00:00
수정 2011-05-17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논란된 ‘급성간질성’ 사망률 42% 달해

최근 미확인 폐렴에 의한 사망자가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국내에서 이와 유사한 ‘원인불명(특발성) 간질성 폐렴’으로 최근 5년 동안 사망한 환자가 4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사망한 산모의 사망원인으로 지목된 ‘급성 간질성 폐렴’의 사망률은 42%나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미지 확대
미확인 바이러스성 폐렴이 최근 임산부들에게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급기야 사망자까지 나왔다. 서울시내 한 보건소에서 임신부가 검진을 받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미확인 바이러스성 폐렴이 최근 임산부들에게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 10일에는 급기야 사망자까지 나왔다. 서울시내 한 보건소에서 임신부가 검진을 받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에 따르면 2003~2007년 전국 병원에서 원인불명의 간질성 폐렴으로 진단받은 환자 2186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한 결과 21.5%인 472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 조사는 간질성 폐질환의 실태를 밝히기 위해 이뤄진 것으로, 관련 논문은 2009년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지에 발표됐다. 환자는 11~94세로 연령대가 광범위했고, 평균 나이는 65세였다. 남성 환자가 여성에 비해 2배가량 많았다.

한편 김영삼(84) 전 대통령이 16일 오후 맏며느리 황경미씨를 병문안하기 위해 서울성모병원을 찾았다. 황씨는 지난 1일 폐렴 증세를 보여 병원에 입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그는 ‘원인불명 폐렴’이 아닌 일반 폐렴 증상을 호소해 항생제 치료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2011-05-1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