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회 교정대상 수상자] │대상│ 전구호 서울구치소 교위

[29회 교정대상 수상자] │대상│ 전구호 서울구치소 교위

입력 2011-05-19 00:00
수정 2011-05-1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인 수용자 교화 위해 중국어까지 배워

“이 일이 제가 맡은 일인 이상, 걸어온 길을 마무리 지을 때까지는 현장을 충실히 지켜갈 겁니다.” 제29회 교정대상 대상을 수상한 전구호(55) 서울구치소 교위는 수상 소감을 묻는 질문에 힘찬 각오로 먼저 답했다. “32년 교정 생활을 하면 누구라도 나 정도는 할 것”이라며 겸손의 말로 소감을 대신했다.

이미지 확대
전 교위는 1979년부터 교정 업무를 시작했다. 어린 시절 서울 영등포 지역에 살았던 그는 근처에 영등포 구치소가 있어 구치소와 교정 문화가 어색하거나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다. 이웃 중에 교도관도 많아서 전 교위는 자연스럽게 교정 일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그때부터 “힘들어도 해볼 만한 직업”이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

어린 시절 막연했던 꿈이 현실이 된 지 32년, 그 기간 동안 전 교위가 수용자 교화와 재범 방지를 위해 벌인 활동은 셀 수 없을 정도다. 사형수들을 위해 무려 660여회 개인교화를 벌였고, 생계 유지가 곤란한 사형수 가족들을 위해 기초생활보호 수급자가 될 수 있게 돕기도 했다. 또 불우수용자를 위해 영치금 지원을 알선하고, 수형자 취업 지원도 꾸준히 해 왔다.

특히 전 교위는 중국어 회화 능력을 바탕으로 중국인 수용자 교화 등 교정 행정 세계화 부분에서 큰 활약을 했다.

“초년에 일했던 영등포 구치소에는 밀수로 잡혀온 중국인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때만 해도 통역할 사람이 없어서 짧은 영어로만 대화를 하더군요. 그때 그걸 보고 중국어와 외국인 교화에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전 교위는 교정 일에 반평생 넘게 몸을 바치면서 힘든 일도 많았다고 한다. 특히 교정 기간을 거치고 출소했던 재소자가 다시 구치소에 들어왔을 때 가장 서글프다고 한다. 그럴 때 그는 ‘인간성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까지 하게 된다고 말했다.

“우범자를 볼 때마다 교도관으로서 책임을 느낍니다. 교정 제도조차도 그런 재범을 막지 못했으니까요. 하지만 이건 제도의 한계와는 별개인 것 같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어려운 가운데 살고 있습니다. 그걸 극복하려는 의지가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지요.”

그렇다고 전 교위가 직업에 회의를 느낀 적은 한번도 없었다. 이 일로 가정을 일군 것은 물론이고, 교정은 이 사회를 바람직하게 유지하기 위해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라는 자부심이 있기 때문이다. 그의 바람도 이런 생각과 무관하지 않다. 그는 “인간의 선한 면은 보듬으면서도 범죄의 악한 면은 단죄할 수 있는 그런 교도관으로 남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1-05-1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