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유통 쌈채류서 미등록농약 국제기준 초과

서울시내 유통 쌈채류서 미등록농약 국제기준 초과

입력 2012-11-05 00:00
수정 2012-11-05 09: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유니코나졸’ 조사서 49건에 허용치의 최대 1천700배 검출

지난해 서울 시내에 유통된 쌈채류에서 국내 미등록 농약 성분이 국제기준치를 최대 1천700배 초과해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보건환경연구원이 작년 6월부터 11월까지 유통중인 농산물 121종 3천939건에 대해 성장조절제인 ‘유니코나졸’ 잔류 실태조사를 한 결과, 총 49건이 검출됐다.

검출량은 0.09~17.89ppm이었다. 이는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2008년 설정한 농산물 잔류허용치 0.01ppm을 크게 초과한 양이다.

품목별로 보면 검출된 농산물 중 겨자채가 69.4%로 가장 많았다.

연구원은 조사대상 농산물 중 엽채류에서만 유니코나졸이 검출됐으며 다른 품목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점으로 미뤄 이 농약이 겨자채 등 주로 쌈채류에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쌈채류의 과도한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소비자가 쌈채류를 이용할 때 손바닥만 한 크기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려고 유니코나졸이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유니코나졸은 중국에서 성장조절제 및 살균제 농약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두통, 권태감, 경련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중국 장쑤성(江蘇省)에서는 식물성장조절제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수박폭발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특히 국내에서는 작년까지만 해도 유니코나졸에 대한 잔류 허용 기준이 설정돼 있지 않아 검출되더라도 불검출로 관리되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올해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유니코나졸 기준 설정을 건의했고 식약청이 이를 수용, 등록 농약으로 분류했다.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 개정 고시에도 유니코나졸 항목이 추가되기도 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시민이 즐겨 먹는 쌈채류에서 유니코나졸이라는 농약이 검출되었으므로 쌈채류 이용 시 물로 깨끗이 씻고 나서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서울시의회 김혜영 의원(국민의힘, 광진4)이 대표발의한 ‘서울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응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체계적인 디지털 기술 교육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근거를 신설한 것으로, 실질적인 자생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긴 입법 성과다. 개정된 조례에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교육’을 서울시가 실시할 수 있는 경영 및 창업지원 사업의 하나로 명시(제8조 제7호의3)해, 관련 교육사업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갖췄다. 김 의원은 “디지털 기술이 일상화된 현재에도 키오스크 사용이나 온라인 판매조차 어려워하는 소상공인들이 여전히 많다”며 “단순한 재정지원만으로는 변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진정한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실태조사 결과에(2021년 기준)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소상공인의 비율은 전체의 15.4%에 불과하며, 특히 제조업(7.6%), 숙박·음식점업(7.6%), 수리
thumbnail -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