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1.5㎞ 거리를 14㎞ 돌아가… 달성군 진입로 등 이유 車통행 반대
낙동강 강정고령보 우륵교에서 차량 통행이 여전히 되지 않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 간 불통의 대표적인 사례<서울신문 2013년 3월 19일자>로, 상황이 전혀 개선되지 않은 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보도 뒤 국토교통부 등 관련 부처에서 시정을 약속했으나 우륵교에 박힌 대못은 1년째 그대로다.경북 고령군 다산면 곽촌리와 대구 달성군 다사읍 죽곡리를 잇는 우륵교는 2011년 10월 890억원을 들여 강정고령보 위에 건설한 왕복 2차선 도로다. 전국 4대 강 16개 보 가운데 5곳에서 차량 통행이 가능한데 이 중 강정고령보만 차량 통행이 금지됐다. 고령군은 우륵교 진입도로 400m를 32억원을 들여 건설했다.
주민들은 개통 대책위원회를 만들어 1만 3000여명의 서명을 받아 청와대, 국회 등 13개 기관에 진정서를 전달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달 19일 현장을 찾아 고령군 및 달성군 관계자와 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었다. 하지만 달성군은 차량 통행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달성군 쪽에 진입도로를 개설하려면 기존 도로에 흙을 쌓아야 한다. 인근 식당가가 모두 진입도로 부지로 편입돼야 해 상인들의 반발이 심하다. 이러다 보니 토지보상비 등 진입도로 개설 비용이 1500억원에 이른다. 달성군은 우륵교가 4대 강 자전거 도로의 국토 종주 노선이라 사고 위험이 크다는 이유도 들었다. 차량 통행이 경관을 해친다는 점도 거론했다. 강정고령보는 4대 강 보 중 최고의 관광 명소로 꼽힌다. 이렇게 양 지역의 입장 차가 커 관련 부처도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민과 기업들은 1.5㎞ 구간의 우륵교를 눈앞에 두고 사문진교 등으로 무려 14㎞나 돌아가고 있다. 낭비되는 물류와 시간 등의 비용이 개통 이후 2년 5개월여 동안 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고령군은 “주민들이 장기간 큰 불편을 겪는데도 관련 기관들은 해결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말로만 소통을 외칠 게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4-03-0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