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 악화로 수중·항공수색 잠정 중단
세월호 침몰 26일째인 11일 전남 진도 해역에 풍랑주의보가 발효되는 등 기상이 악화되면서 수중 수색은 물론 항공 수색과 해상 방제 작업도 중단됐다. 선내 일부 격실 붕괴가 진행되면서 갈수록 수중 수색 작업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많은 희생자들이 발생한 경기 안산에서는 유족과 자원봉사자가 잇따라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도 했다.
야속한 하늘… 높은 파도에 해안가만 수색
11일 전남 진도군에 풍랑주의보가 내려져 세월호 수중·항공 수색 작업이 중단된 가운데 31사단 군 장병들이 진도군 지산면 세방낙조 인근 해안가에서 수색을 하고 있다.
선체 내부 천장과 칸막이가 오랜 시간 물을 머금어 휘어지는 약화 현상이 4층 선미에서 시작된 이후 다른 구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약화 현상은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이 2012년 일본에서 세월호를 들여와 2013년 1월까지 국내에서 개조한 4층 선미부 등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붕괴 위험이 있는 곳은 4층 뱃머리 좌측 통로와 5층 뱃머리 입구 통로, 5층 중앙 통로 등으로 개조되지 않은 곳에서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한편 안산 합동분향소에서 자원봉사를 하던 40대 남성이 목숨을 끊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11일 안산 상록경찰서에 따르면 세월호 침몰 이후 진도 팽목항과 안산 합동분향소에서 자원봉사를 해 오던 A(47)씨가 지난 9일 자택에서 목을 매 숨졌다. 최근 우울증 증세를 보이던 A씨는 세월호 유가족들의 고통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증세가 심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1시 40분쯤에는 유족 B씨가 안산 화랑유원지 내 합동분향소 뒤편 나무 밑에서 허리띠로 고리를 만드는 모습을 다행히 경찰이 먼저 발견했다. B씨의 딸은 전날 밤 분향소로 오기로 한 B씨가 전화를 받지 않자 경찰에 신고했다. 앞서 9일에는 숨진 단원고 학생의 어머니가 약물 과다 복용으로 집에서 쓰러진 채 발견돼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다.
진도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안산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05-1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