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비흡연자 반응 분분
담뱃값 2000원 인상을 골자로 한 정부의 종합금연대책에 대해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반응은 엇갈렸다. 정부가 겉으로는 금연대책을 내세웠지만 속내는 부족한 세수를 확보하기 위한 ‘서민증세’로 보인다는 비판적 의견이 많았다.11일 정부안 발표 이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인터넷 커뮤니티는 뜨겁게 달아올랐다. 흡연자들은 담뱃값 인상 결정에 대해 “금연대책을 가장한 세수확보책”이라고 비판했다. 트위터 아이디 ‘Bon****’는 “미국은 담배 가격 인상으로 확보된 세수를 금연 프로그램에 어떻게 투자할지 먼저 밝히는데 우리는 국민적 동의 절차 없이 담뱃값부터 올리려고 한다”고 꼬집었다. 흡연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아이러브스모킹’에는 2006년 9월 노무현 정부가 담뱃값을 500원 인상하려 할 때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세수 확충 목적의 담뱃값 인상에 반대한다’며 발표했던 성명이 다시 올라오기도 했다. 5년 전 담배를 끊은 직장인 홍모(41)씨는 “담뱃값과 흡연율의 인과관계가 불명확한데도 담뱃값을 올리려는 건 친기업적 성향인 현 정부가 법인세를 올리는 대신 서민 호주머니를 털어 부족한 세수를 채우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혐연권 보장을 위해 가격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대학생 노모(27)씨는 “유럽이나 북미는 한국보다 3배 이상 비싸다”면서 “관련 연구를 보니 이번 인상으로 흡연자의 30%가 금연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는데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했다.
담배 사재기 조짐도 감지됐다. 한 대형 프랜차이즈 편의점 업체는 담뱃값 인상 예고 기사가 나온 지난 10일 담배 판매량이 일주일 전 같은 요일보다 32.9% 늘었다. 또 다른 프랜차이즈 편의점도 판매량이 30% 이상 증가했다. 편의점 관계자는 “담뱃값 인상 소식이 알려지면서 10~11일 한두 보루(10갑)씩 사 가는 고객이 늘었다”면서 “흡연자들이 놀란 마음에 당분간 사재기를 하겠지만 실제 인상은 석 달 넘게 남아 곧 판매량이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9-1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