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각급 학교급식이 유상으로 전환된 가운데 박종훈 교육감이 9일 일선 학교 교장들을 긴급 소집해 무상급식 환원을 위해 한목소리를 내달라고 주문했다.
박 교육감은 이날 일부 교장이 무상급식 재개를 촉구하는 학부모 1인 시위를 방해하거나 경남도 서민자녀 교육지원사업을 안내하는 등 경남교육청과 엇박자를 낸 데 대해 경고 메시지를 보내면서 동시에 한목소리를 내줄 것을 호소했다.
박 교육감은 9일 창원 KBS홀에서 열린 ‘2015학년도 학교장 워크숍’에서 ‘배움이 즐거운 학교, 함께 가꾸는 경남교육’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다.
특강이라는 형식을 빌렸지만, 경남교육계의 가장 큰 현안인 무상급식 지원 중단과 관련해 일선 학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교장들에 대한 내부 단속 차원으로 보였다.
박 교육감은 “교장들은 교육자다. (무상급식 지원 중단에 대해) 잘못 아는 사람들은 바로 가르쳐야 할 책무가 있다”며 “경남도교육청이 감사를 받지 않아서 급식비를 지원하지 못한다고 잘못 말하는 사람을 바르게 가르쳐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무상급식을 원래대로 환원시키고자 하는 학부모가 학교 앞에 1인시위한다고 ‘보기 싫으니 가라’고 이야기한 교장이 있다”며 “교장들은 오히려 그런 학부모를 교장실로 불러 차 한잔 주면서 격려하고 학부모 밴드에 직접 참여해서 의견을 나눠야 한다”고 박 교육감은 강조했다.
그는 미국 뉴욕시에는 전체 110만명 학생 중 78만명이 무상급식 대상자이지만 무상급식을 실제 신청하는 학생은 25만명에 그쳐 나머지 53만명은 무상급식 신청이 부끄럽거나 신청서류가 복잡하다는 이유로 급식비를 내거나 밥을 굶게 돼 결국 뉴욕시가 보편적 급식을 하는 것이 맞다는 발표를 했다는 언론보도도 소개했다.
이러한 사례를 들며 박 교육감은 “학교급식은 학부모 일이 아니라 우리 학교의 일이며 교장의 일이다”며 “급식비를 못 내는 아이들이 느끼는 자괴감과 상실감을 보듬어 챙기는 것이 교장의 역할이다”고 말했다.
그는 “무상급식은 아이들이 차별받지 않는 보편적 복지이면서 복지를 뛰어넘는 교육이다는 생각을 같이해 달라”며 “경남 국회의원들이 모여 이 문제를 논의하는 등 외부 환경도 우리에게 유리하게 나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교육감과 교육장, 950여개 학교 교장이 한목소리를 낼 때 무상급식 회복의 길을 확보할 수 있다”며 “교장들의 개인철학까지 강요해선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엄혹한 시기에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되고 받아들이지도 않겠다”고 단호한 뜻을 밝혔다.
박 교육감은 “교장들이 한목소리로 도민 모두를 설득하면 하루라도 빨리 학교가 정상화될 것이다”며 “무상급식 회복시키는 길에 함께 해 달라”고 거듭 호소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학교급식의 현황과 과제, 자유학기제 운영·진로 체험 인프라 확대, 수학여행·수련회 안전관리, 학교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현안 협의도 진행됐다.
연합뉴스
박 교육감은 이날 일부 교장이 무상급식 재개를 촉구하는 학부모 1인 시위를 방해하거나 경남도 서민자녀 교육지원사업을 안내하는 등 경남교육청과 엇박자를 낸 데 대해 경고 메시지를 보내면서 동시에 한목소리를 내줄 것을 호소했다.
박 교육감은 9일 창원 KBS홀에서 열린 ‘2015학년도 학교장 워크숍’에서 ‘배움이 즐거운 학교, 함께 가꾸는 경남교육’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다.
특강이라는 형식을 빌렸지만, 경남교육계의 가장 큰 현안인 무상급식 지원 중단과 관련해 일선 학교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교장들에 대한 내부 단속 차원으로 보였다.
박 교육감은 “교장들은 교육자다. (무상급식 지원 중단에 대해) 잘못 아는 사람들은 바로 가르쳐야 할 책무가 있다”며 “경남도교육청이 감사를 받지 않아서 급식비를 지원하지 못한다고 잘못 말하는 사람을 바르게 가르쳐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무상급식을 원래대로 환원시키고자 하는 학부모가 학교 앞에 1인시위한다고 ‘보기 싫으니 가라’고 이야기한 교장이 있다”며 “교장들은 오히려 그런 학부모를 교장실로 불러 차 한잔 주면서 격려하고 학부모 밴드에 직접 참여해서 의견을 나눠야 한다”고 박 교육감은 강조했다.
그는 미국 뉴욕시에는 전체 110만명 학생 중 78만명이 무상급식 대상자이지만 무상급식을 실제 신청하는 학생은 25만명에 그쳐 나머지 53만명은 무상급식 신청이 부끄럽거나 신청서류가 복잡하다는 이유로 급식비를 내거나 밥을 굶게 돼 결국 뉴욕시가 보편적 급식을 하는 것이 맞다는 발표를 했다는 언론보도도 소개했다.
이러한 사례를 들며 박 교육감은 “학교급식은 학부모 일이 아니라 우리 학교의 일이며 교장의 일이다”며 “급식비를 못 내는 아이들이 느끼는 자괴감과 상실감을 보듬어 챙기는 것이 교장의 역할이다”고 말했다.
그는 “무상급식은 아이들이 차별받지 않는 보편적 복지이면서 복지를 뛰어넘는 교육이다는 생각을 같이해 달라”며 “경남 국회의원들이 모여 이 문제를 논의하는 등 외부 환경도 우리에게 유리하게 나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교육감과 교육장, 950여개 학교 교장이 한목소리를 낼 때 무상급식 회복의 길을 확보할 수 있다”며 “교장들의 개인철학까지 강요해선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엄혹한 시기에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되고 받아들이지도 않겠다”고 단호한 뜻을 밝혔다.
박 교육감은 “교장들이 한목소리로 도민 모두를 설득하면 하루라도 빨리 학교가 정상화될 것이다”며 “무상급식 회복시키는 길에 함께 해 달라”고 거듭 호소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학교급식의 현황과 과제, 자유학기제 운영·진로 체험 인프라 확대, 수학여행·수련회 안전관리, 학교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현안 협의도 진행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