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확보한 시설 수용인원 150명… 환자 치료 위한 음압병상도 모자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2차 감염 및 3차 감염이 우려되는 메르스 의심자가 곧 10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가 이들을 모두 통제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보건복지부는 2일 현재 기준으로 격리관찰대상자는 모두 756명이며 추적조사를 더 거치면 배 이상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시설격리 예정자는 100명 정도다. 정부는 현재 자가(自家)격리 중인 사람들을 설득해 시설로 보내고 있다. 대상자는 50세 이상이면서 메르스에 노출됐을 때 환자를 더욱 위험하게 할 수 있는 당뇨병, 신장 질환 등을 가진 밀접 접촉자다. 정부가 확보한 격리시설의 수용 인원은 150명 정도로, 아직은 충분하지만 앞으로 메르스가 3차 감염으로 걷잡을 수 없이 퍼져 나가면 이 정도로는 수용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복지부는 “시설을 더 늘릴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메르스 환자 치료를 위한 음압 병상 등도 부족한 실정이다. 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 에볼라, 결핵 등 각종 감염병 치료를 위해 전국 17개 병원에 국가 지정 입원치료 격리 병상을 운영 중이며, 음압 병상은 105개(병실 수는 47개), 일반 병상은 474개 수준이다. 보건당국도 병상 수가 부족하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다.
권준욱 메르스중앙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전국의 음압 병상을 모두 가동해 환자를 격리 수용하고 있지만, 메르스 환자는 격리 치료가 필요한데 이 중에는 다인실도 있어 수용 가능한 인원에 제한이 있다”며 “음압에 준하는 1인실 격리 병상을 확보하는 동시에 최악의 경우 병원 건물 하나를 완전히 비우고 환자를 수용하는 비상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6-0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