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사망한 경기도 평택의 한 버스회사 관리자의 직장 동료는 3일 “회사와 평택시는 직원들이 메르스를 옮기는 제2의 가해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격리 등 조치를 서둘러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경기도청 앞에서 민주노총 경기본부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버스회사에 다니는 김모씨는 “병문안을 다녀온 직원들 대부분이 격리조치되지 않고 있고 전 직원에 대한 전수조사도 오늘에서야 시작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씨는 “직원들은 하루 17시간 버스에서 일하면서 많게는 1천여명의 시민과 마주친다”며 “회사와 평택시는 시민 안전보다 회사 이익과 지역 경제를 우선하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지난 1일 “메르스는 증상이 발현되기 전까지는 감염 위험이 없는데 이 회사 직원들은 사망자가 발열 증상을 보이기 시작한 지난달 23일 이전에 면회를 마쳤다”며 버스회사 직원들에 대한 감염 가능성을 일축했다.
연합뉴스
이날 경기도청 앞에서 민주노총 경기본부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 버스회사에 다니는 김모씨는 “병문안을 다녀온 직원들 대부분이 격리조치되지 않고 있고 전 직원에 대한 전수조사도 오늘에서야 시작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씨는 “직원들은 하루 17시간 버스에서 일하면서 많게는 1천여명의 시민과 마주친다”며 “회사와 평택시는 시민 안전보다 회사 이익과 지역 경제를 우선하는 태도를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지난 1일 “메르스는 증상이 발현되기 전까지는 감염 위험이 없는데 이 회사 직원들은 사망자가 발열 증상을 보이기 시작한 지난달 23일 이전에 면회를 마쳤다”며 버스회사 직원들에 대한 감염 가능성을 일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