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학교급식시민모임 등 지역 시민단체들은 31일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중학교 무상급식 시행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시민단체들은 “인천시교육청은 그동안 중학교 1학년부터 단계적으로 무상급식을 하는 방안을 계속 추진했지만 인천시의 비협조와 시의회의 반대에 막혀 번번이 무산됐다”면서 “재정난을 핑계로 중학교 무상급식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계속 보고만 있을 수 없어 학부모와 시민이 나섰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유정복 인천시장은 중학교 의무급식을 규정한 특별조례를 만들고 당장 내년도부터 중학교 친환경 무상급식을 할 수 있는 예산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단체들은 이런 내용을 담은 청원서에 시민 서명을 받아 11월 초 시, 시의회, 시교육청에 전달하고 1인시위와 토론회 개최 등을 병행해 무상급식 확대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기로 했다.
현재 다른 시·도의 경우 농어촌인 읍·면 지역에서 대부분 중학교 무상급식을 하고 있다.
부산은 기장군의 6개 중학교, 대구는 면 지역 및 학생수 400명 이하 22개 중학교, 울산은 울주군의 7개 중학교, 경북은 192개 전체 읍·면 중학교가 무상급식을 시행 중이다.
새누리당이 절대 의석을 차지한 인천시의회는 그동안 시의 재정난을 이유로 현재 인천의 전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무상급식을 중학교로 확대하는 데 반대해왔다.
연합뉴스
시민단체들은 “인천시교육청은 그동안 중학교 1학년부터 단계적으로 무상급식을 하는 방안을 계속 추진했지만 인천시의 비협조와 시의회의 반대에 막혀 번번이 무산됐다”면서 “재정난을 핑계로 중학교 무상급식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계속 보고만 있을 수 없어 학부모와 시민이 나섰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유정복 인천시장은 중학교 의무급식을 규정한 특별조례를 만들고 당장 내년도부터 중학교 친환경 무상급식을 할 수 있는 예산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단체들은 이런 내용을 담은 청원서에 시민 서명을 받아 11월 초 시, 시의회, 시교육청에 전달하고 1인시위와 토론회 개최 등을 병행해 무상급식 확대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기로 했다.
현재 다른 시·도의 경우 농어촌인 읍·면 지역에서 대부분 중학교 무상급식을 하고 있다.
부산은 기장군의 6개 중학교, 대구는 면 지역 및 학생수 400명 이하 22개 중학교, 울산은 울주군의 7개 중학교, 경북은 192개 전체 읍·면 중학교가 무상급식을 시행 중이다.
새누리당이 절대 의석을 차지한 인천시의회는 그동안 시의 재정난을 이유로 현재 인천의 전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무상급식을 중학교로 확대하는 데 반대해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