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 금연만이 간접흡연 차단할 수 있어”
지난해 1월부터 시행된 전면금연 후 PC방의 실내공기가 좋아졌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2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가 논평한 ‘서울시내 PC방의 금연정책 시행전과 후의 실내 PM2.5 농도변화’ 연구를 보면, 해당 연구를 한 서울대 보건대학원 등의 연구팀(김정훈·김태현·황윤형·이기영)은 서울시내 PC방 34곳을 선정해 실내 전면금연시행 전(2013년 4월 27일~5월 18일)과 후(2014년 2월 8일~3월 15일)의 실내 미세먼지 (PM2.5) 농도 등을 반복 조사했다.
PM은 공기 중에 에어로졸 형태로 존재하는 입자상 물질을 가리키는 말이다. 뒤에 붙은 숫자는 입자의 크기를 나타낸다. PM2.5는 크기가 2.5㎛인 입자상 물질이며 주로 담배 관련 오염물질이 여기에 속한다.
해당 연구결과, PC방의 실내 PM2.5 평균 농도는 전면금연 전 139.6㎍/㎥에서 금연정책시행 후 55.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금연정책 시행 전후 흡연 담배 개비 수는 8.4개(±5.5개)에서 1.9개(±3.5개)로, 담배꽁초 수는 52.6개(±38.6개)에서 10.7개(±19.5개)로 각각 줄었다.
비록 전면금연 후 PC방의 실내 공개가 나아졌지만, 이렇게 감소한 실내 PM2.5 평균농도(55.7㎍/㎥)는 실외 농도(27.8㎍/㎥)보다 약 2배, 미국 대기환경기준(NAAQS) 35㎍/㎥와 견줘서는 약 1.6배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전면금연 후에도 여전히 PC방의 PM2.5 농도가 짙은 원인으로는 PC방에 설치된 흡연실의 담배연기가 PC를 이용하는 실내공간으로 흘러들어왔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PC방 전면금연이라고 해도 흡연실과 금연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담배 연기가 바깥으로 새어나왔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국가금연지원센터는 “실내에서 흡연실과 금연실을 분리하거나 환기하는 것만으로는 간접흡연 노출을 제거할 수 없다”면서 “공공장소에 대한 전면적 금연정책만이 청소년이 이용하는 PC방의 간접흡연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