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23일 오전 10시, 국지성 폭우와 팔당댐 대량방류로 한강 둔치가 물에 잠기고 세빛섬 출입로가 차단된 채 불이 난다.
이곳을 지나던 유람선이 부유물에 휩쓸려 세빛섬과 충돌, 시민 40여 명이 한강에 뛰어드는 등 위태로운 상황이 벌어진다.
서울시가 이 같은 시나리오로 46개 기관 1천100여 명이 참가하는 한강 미래 복합재난대응 민관군 합동훈련을 서초구 올림픽대로 683번지 일대에서 연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헬기 8대 등 장비 120대도 동원된다. 1997년 훈련을 시작한 이래 최대 규모라고 시는 설명했다.
세부 참여 기관은 서울시 119특수구조단, 한강 담당 소방서 10곳, 경기·인천소방, 효성, 육군 제1공수특전여단, 산림청, 서울지방경찰청 등이다. 민간 보트운영업체도 보트를 끌고 참여해 인명구조 훈련에 힘을 보탠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져 최대 규모의 훈련을 하게 됐다. 초기 대응과 관계기관 간 공조체제를 더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곳을 지나던 유람선이 부유물에 휩쓸려 세빛섬과 충돌, 시민 40여 명이 한강에 뛰어드는 등 위태로운 상황이 벌어진다.
서울시가 이 같은 시나리오로 46개 기관 1천100여 명이 참가하는 한강 미래 복합재난대응 민관군 합동훈련을 서초구 올림픽대로 683번지 일대에서 연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헬기 8대 등 장비 120대도 동원된다. 1997년 훈련을 시작한 이래 최대 규모라고 시는 설명했다.
세부 참여 기관은 서울시 119특수구조단, 한강 담당 소방서 10곳, 경기·인천소방, 효성, 육군 제1공수특전여단, 산림청, 서울지방경찰청 등이다. 민간 보트운영업체도 보트를 끌고 참여해 인명구조 훈련에 힘을 보탠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져 최대 규모의 훈련을 하게 됐다. 초기 대응과 관계기관 간 공조체제를 더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