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치료 땐 취업 등 불이익 탓
우리나라가 세계 주요국 가운데 자살률이 가장 높지만 자살 기도의 주요 원인인 우울증을 호전시키는 항우울제 복용은 가장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우울증 환자들이 정신과 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 탓에 제대로 진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분석이다.18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 2015’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하루 항우울제 소비량은 1000명당 20DDD(1일 사용량 단위·2013년 기준)이다. 28개 조사국 가운데 두 번째로 낮았다. OECD 국가들의 항우울제 하루 평균 소비량이 1000명당 58DDD인 점을 감안하면 3분의1 수준에 그쳤다. 항우울제 소비량이 한국보다 낮은 나라는 칠레(13DDD) 단 한 곳뿐이었다. 반면 아이슬란드(118DDD), 호주(96DDD) 등은 압도적으로 많았다.
우리나라는 감기 치료를 위한 항생제나 당뇨약 사용량은 많았지만 항우울제 사용량은 유독 적었다. 약물 남용이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지만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에 오른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울증 환자 가운데 치료를 받는 사람의 비중이 작은 것이다. 국내 우울증 치료율이 낮은 것은 정신과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때문이다. 정신과 진료 경험이 있거나 항우울제를 처방받으면 취업이나 보험가입 등이 어려워지는 등 사회적 인식이 곱지 않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11-1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