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본 ‘피해자 평균’
온라인 중고거래 사기가 일회성 범죄에서 체계적인 전문 범죄로 발전하고 있다. 범죄 도구와 수법이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서울 송파경찰서가 2010년부터 올 11월까지 6년간 관내에서 발생한 온라인 물품 사기 109건을 분석한 결과다.
우선 과거엔 ‘팝니다’라는 글을 올려 피해자를 유인했다면 최근에는 ‘삽니다’라는 글을 올린 사람에게 접근해 사기를 저지르는 경향이 짙었다. 피해자 정보를 먼저 알아낸 후 맞춤형 범죄를 저지른 것이다.
실제로 올해 발생한 온라인 물품 사기 49건 중 ‘삽니다’ 유형은 20건으로 58%를 차지했다. 반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삽니다’ 사기 비중은 21%에 그쳤다.
아울러 최근엔 경찰의 추적을 피하기 쉬운 대포통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타인 명의 통장을 이용한 온라인 물품 사기는 올해에만 51%로 지난 5년간 18%에 비해 3배 가까이 뛰었다. 또 대포통장의 평균 피해 금액은 21만 2000원으로 본인 통장(13만 7000원)을 이용했을 때보다 컸다.
온라인 물품 사기 장소는 기존 PC에서 모바일로 옮겨 가고 있다. ‘번개장터’ 같은 중고거래 모바일 앱을 통해 이뤄진 물품 사기 비중은 지난해까지 5%에 불과했지만 올해 31%로 대폭 늘었다. 아울러 범인의 나이는 20대가 44%로 가장 높았고 30대 26%, 10대 21% 순이었다. 범죄에 걸리는 시간(최초 연락부터 입금까지 시간)은 평균 4시간 6분이었다.
장광호 송파서 경제범죄수사과장은 13일 “중고거래 사이트에 등록하는 휴대전화나 계좌번호가 비정상적으로 자주 바뀌는 회원에 대해 사이트 관리자가 해당 계정을 삭제하는 등의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5-12-1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