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삼계탕 파티 준비도 ‘매머드급’…경제효과 495억원

유커 삼계탕 파티 준비도 ‘매머드급’…경제효과 495억원

입력 2016-05-06 22:10
수정 2016-05-06 2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닭 4천마리·맥주 4천캔·테이블 400개…화장실·휴지통도 추가 설치

6일 오후 반포한강공원 달빛광장에서 유커 4천명이 벌인 삼계탕 파티에는 참석인원수만큼이나 파티 준비물도 매머드급이었다.

중국 중마이과학발전유한공사(중마이) 직원 4천명을 맞이하기 위한 축구장 3배 면적의 만찬장에는 테이블 약 400개와 의자 약 4천개가 마련됐다.

유커 4천명을 실은 관광버스 100대는 오후 4시부터 잠수교에 속속 도착했다. 유커들을 내린 뒤 관광버스는 국립중앙박물관, 현충원 등에 분산 주차됐다.

행사장에는 삼계탕을 데우는 밥차 10대가 준비됐다. 그 옆에는 삼계탕을 보관할 수 있는 텐트 10동이 세워졌다.

닭 4천마리, 맥주 4천캔, 물·홍삼드링크·탄산음료 4천개, 백세주 800개 등이 만찬을 위해 준비됐다.

삼계탕 파티 이전에는 푸드트럭 10대가 분식과 씨앗호떡, 츄러스 등 다양한 길거리 음식을 선보였다.

화장실도 추가로 설치됐다. 남자화장실 4곳, 여자화장실 5곳이 마련됐다. 흡연구역을 위해 텐트 2동도 세워졌다. 휴지통도 22개가 설치됐다.

오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 비가 오후까지 계속되자 서울시는 우의 4천개를 마련해 유커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구급차 3대도 배치됐다.

테이블 하나당 삼계탕을 뚝배기 담아줄 인원도 1명씩 배치돼 총 400명이 삼계탕 서빙을 했다. 안전요원을 포함해 총 500여명이 행사 진행을 도왔다. 경찰은 총 250여명이 투입됐다.

대규모 야외행사인 만큼 안전과 질서유지를 위해 방배경찰서, 서초소방서, 동작소방서, 반포수난구조대와 함께 종합상황실을 마련했다.

또 임시환전소를 설치해 환전 편의도 제공했다.

2차로 한국을 찾는 중마이 직원 4천여명은 다시 한 번 10일 반포한강공원에서 삼계탕 파티를 한다.

시는 2번의 삼계탕 파티를 위해 총 2억 5천만원의 시비를 투입했다. 삼계탕과 맥주 등을 기업 협찬으로 받아 재료비는 들지 않았다.

한국관광공사는 중마이 그룹 방문으로 파생되는 경제적 파급 효과가 495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송재혁 서울시의원, 서울 첫 자연휴양림 수락산 ‘수락휴(休)’ 개장…도시 숲 활성화 기여로 감사패 수상

수락산 동막골에 서울 도심 속 첫 자연휴양림 ‘수락휴(休)’(노원구 상계동 산153-1번지 일대)가 지난 17일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서울시의회 송재혁 의원(민주당, 노원6)은 지난 15일, 노원구 수락산 자연휴양림 ‘수락휴’ 개장식에서 지역 사회 도시 숲 활성화와 자연휴양 환경개선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패를 받았다. 수락휴는 9800㎡ 부지에 14m 높이 트리하우스 3개동을 비롯해 18개동 25개 객실과 레스토랑, 숲속 카페, 테마정원과 산책로 등을 자연 친화적으로 배치했다. 지하철 불암산역(4호선)에서 불과 1.6km 떨어진 곳에 있어 마을버스로도 찾아갈 수 있는 접근성이 가장 큰 강점이다. 매월 10일 오후 2시부터 산림청 ‘숲나들e 누리집(www.foresttrip.go.kr)’에서 다음 달 숙박 예약이 가능하다. 노원구민과 장애인은 10% 할인된 요금으로 매월 7일 오후 2시~9일 오후 6시에 우선 예약할 수 있다. 송 의원은 “이제 주말에 교통체증을 겪으며 교외로 멀리 나갈 필요 없이 쉽게 자연 속 휴식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도심 속 자연공간에서 쉬며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도시와 자연이 공존하는 서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
thumbnail - 송재혁 서울시의원, 서울 첫 자연휴양림 수락산 ‘수락휴(休)’ 개장…도시 숲 활성화 기여로 감사패 수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