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북구 군부대에서 13일 발생한 폭발 추정 사고와 관련해 군 당국이 병원에서 부상 병사를 감시하는 등 외부접촉을 막고 있다.
이날 오후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실에는 부상 군인 5명이 이송됐다.
얼굴과 손등 화상, 발목 골절, 귀가 울리는 현상 등의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왔다.
화상이나 골절 등 부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한 병사들은 침대에 누워 치료를 받고, 이명현상 등 경상을 입은 병사들은 의자에서 대기했다.
이명현상으로 온 병사들은 3명으로 간부들이 곁을 계속 지키며 사실상 언론 접촉을 통제했다.
일부 취재진이 사고 당시 상황을 이 병사들에게 물었으나 아예 대답을 회피하거나, 함구령을 지시받은 듯 어두운 표정에 군기가 들어간 목소리로 “쉬고 싶습니다”라는 말만 반복했다.
이때도 어김없이 간부들이 바로 옆에서 지켜보고 있었다.
간부급 군인들마저도 질문에 “사고 연락을 받고 와서 아무것도 말할 수 있는 것이 없다”며 입을 닫았다.
경찰과 소방관계자들 역시 상황을 파악하고 수습하고자 병사들과 대화를 나누려고 시도했으나 병사들은 증상을 설명하는 것 말고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
경찰 관계자는 “군 쪽에서 별다른 이야기를 하지 않고 있어 현재로썬 우리도 정확히 당시 상황을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병원 측은 “부상자 상태로만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추정하기 어렵고, 군에서 따로 들은 이야기도 없다”며 “다만, 현장에 폭발음이 있었지만, 파편상을 당한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날 오후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실에는 부상 군인 5명이 이송됐다.
얼굴과 손등 화상, 발목 골절, 귀가 울리는 현상 등의 부상을 입고 병원으로 왔다.
화상이나 골절 등 부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심한 병사들은 침대에 누워 치료를 받고, 이명현상 등 경상을 입은 병사들은 의자에서 대기했다.
이명현상으로 온 병사들은 3명으로 간부들이 곁을 계속 지키며 사실상 언론 접촉을 통제했다.
일부 취재진이 사고 당시 상황을 이 병사들에게 물었으나 아예 대답을 회피하거나, 함구령을 지시받은 듯 어두운 표정에 군기가 들어간 목소리로 “쉬고 싶습니다”라는 말만 반복했다.
이때도 어김없이 간부들이 바로 옆에서 지켜보고 있었다.
간부급 군인들마저도 질문에 “사고 연락을 받고 와서 아무것도 말할 수 있는 것이 없다”며 입을 닫았다.
경찰과 소방관계자들 역시 상황을 파악하고 수습하고자 병사들과 대화를 나누려고 시도했으나 병사들은 증상을 설명하는 것 말고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다.
경찰 관계자는 “군 쪽에서 별다른 이야기를 하지 않고 있어 현재로썬 우리도 정확히 당시 상황을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병원 측은 “부상자 상태로만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추정하기 어렵고, 군에서 따로 들은 이야기도 없다”며 “다만, 현장에 폭발음이 있었지만, 파편상을 당한 사람은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