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현실증강게임 ‘포켓몬고’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개인정보 유출과 이에 따른 사기 등 사이버 범죄 우려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경찰청이 7일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포켓몬고 보조 애플리케이션(앱) 44개를 전수분석한 결과 19개(43.2%)가 주소록·사용지 위치·저장공간 접근 등 평균 10개의 개인정보 수집 권한을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34개의 정보를 요구하는 앱도 있었다. 보조 앱이란 포켓몬고 자동 실행, 포켓몬 출현 위치 정보 등 게임 진행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보조앱 43%서 주소록·위치 등 요구
경찰은 또 포켓몬고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에 악성코드를 심어 해킹하거나 계정·아이템 등을 판매한다며 금품을 뜯어내는 등의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미 경찰은 포켓몬고를 PC에서 실행시킬 수 있게 해 별도 조작 없이 포켓몬을 자동 사냥해 주는 ‘오토봇’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구글 계정 암호를 수집하는 기능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현재 포털사이트 네이버 카페 ‘중고나라’ 등에는 포켓몬고 계정이나 희귀한 포켓몬, 오토봇 프로그램 등을 판매한다는 글부터 돈을 주면 아이템 수집, 레벨업을 대신 해 주겠다는 게시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자동 사냥 프로그램엔 암호 수집 기능
경찰 관계자는 “개인 간 게임 계정 거래 등은 사기로 이어질 우려가 크고, 검증되지 않은 오토봇 프로그램 등에는 악성코드가 탑재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미 설치했다면 앱을 지우거나 휴대전화 설정에서 권한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경찰청이 7일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포켓몬고 보조 애플리케이션(앱) 44개를 전수분석한 결과 19개(43.2%)가 주소록·사용지 위치·저장공간 접근 등 평균 10개의 개인정보 수집 권한을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심지어 34개의 정보를 요구하는 앱도 있었다. 보조 앱이란 포켓몬고 자동 실행, 포켓몬 출현 위치 정보 등 게임 진행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보조앱 43%서 주소록·위치 등 요구
경찰은 또 포켓몬고 관련 컴퓨터 프로그램에 악성코드를 심어 해킹하거나 계정·아이템 등을 판매한다며 금품을 뜯어내는 등의 범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미 경찰은 포켓몬고를 PC에서 실행시킬 수 있게 해 별도 조작 없이 포켓몬을 자동 사냥해 주는 ‘오토봇’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구글 계정 암호를 수집하는 기능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현재 포털사이트 네이버 카페 ‘중고나라’ 등에는 포켓몬고 계정이나 희귀한 포켓몬, 오토봇 프로그램 등을 판매한다는 글부터 돈을 주면 아이템 수집, 레벨업을 대신 해 주겠다는 게시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자동 사냥 프로그램엔 암호 수집 기능
경찰 관계자는 “개인 간 게임 계정 거래 등은 사기로 이어질 우려가 크고, 검증되지 않은 오토봇 프로그램 등에는 악성코드가 탑재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미 설치했다면 앱을 지우거나 휴대전화 설정에서 권한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7-02-0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