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주민들 산불 트라우마 호소
“자려고 누우면 집 타는 모습 계속 떠올라”두통·불면증·무기력 등 육체적 고통까지
심리상담가 65명 투입… 매일 6~7명 상주
“감정 표현하고 정리하면 불안 극복 도움”

두 손 잡고 위로
강원 산불 피해지역을 찾은 박영선(오른쪽)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9일 속초시 장사동의 한 폐차장을 방문해 업체 사장을 위로하고 있다. 속초 연합뉴스
지난 4일 고성·강릉·속초 등 강원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정부의 총력 대응 속에 진화됐지만 삶의 터전이 잿더미가 된 이재민들은 심각한 트라우마와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다.
9일 산불 피해 현장의 이재민 대피소에서 심리 회복을 돕고 있는 상담가들에 따르면 많은 이재민들이 “평생 공들여 일궈놨는데 집이 전소됐다. 마치 내가 타는 듯한 아픔”이라면서 극심한 스트레스와 분노를 호소하고 있다.
노인 중에는 집과 본인을 동일화해 “내 몸과 영혼이 불타 없어진 것 같다”며 극단적 상실감을 드러내는 이들이 많다고 한다. 피해를 본 집터 등을 복원하려면 다시 돌아가야 하지만 “다시 보고 싶지도 가고 싶지도 않다”고 말하는 이들까지 있다. 두통 불면증을 호소하거나 팔다리 떨림, 무기력 등 육체적 고통까지 느끼는 경우가 흔하다. 강릉 옥계면 주민 김모(71)씨는 “자려고 누우면 집이 타는 모습이 계속 떠올라 잘 수 없다”고 말했다.
강원도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는 재난 심리상담가 65명을 투입해 주민들의 ‘산불 트라우마’를 지워내려 애쓰고 있다. 고성의 천진초교 대피소에는 6~7명의 활동가가 상주해 한 사람당 10명씩 고성·속초 일대 이재민의 심리 회복을 돕고 있다. 9일까지 모두 208명을 대상으로 심리 지원이 진행됐다. 국가트라우마센터에서도 대피소에 인력을 파견해 다친 마음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박부녀 심리상담가는 “큰 힘은 없지만 아픔을 나누려 끌어안고 같이 울거나 토닥여 드린다”면서 “분노나 황망함은 드러내고 나눌수록 줄어들고 안정된다”고 말했다. 한면화 상담가도 “2001년 강릉에서 산불을 직접 경험했다”면서 “어떤 마음일지 잘 알기 때문에 감정 이입해서 최선을 다해 돕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지난 2월 발표한 ‘재난피해자의 재난 이후 삶의 변화 추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중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위험군으로 분류된 피해자는 전체 조사 대상자 2300명 중 35%나 됐다. 이 가운데 시간이 지났는데도 우울과 불안을 호소하는 피해자는 각각 28%와 8% 정도다. 포항지진 등 2012~2017년 발생한 자연재난과 화재 피해자를 대상으로 3년간 조사한 결과다.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이재민 스스로 불안·분노·우울 증상을 느끼는 게 정상적인 반응임을 이해하고 안전한 장소에서 믿을만한 사람에게 말로 표현하며 감정을 정리하는 것이 트라우마 극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고혜지 기자 hjko@seoul.co.kr
2019-04-1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