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듀 엑스’ 조작 의혹 제작진 구속 파문
“기획·제작사 권력에 대항한 팬심 승리”“유착 해결하고 투명한 과정 공개 고민을”

6일 경찰에 따르면 전날 구속된 CJ ENM 안준영 PD와 김용범 CP(책임 프로듀서)는 ‘프로듀스 101’ 시즌 1~4의 생방송 경연에서 유료 문자 투표 결과를 조작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제작사 등을 압수수색해 확보한 자료를 분석하고, 관련자를 조사한 결과 제작진과 특정 기획사가 순위 조작에 공모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0년간 오디션 프로그램은 국내 대표 예능 포맷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2016년 시작한 프로듀스 101 시리즈는 시청자가 ‘국민 프로듀서’가 돼 원하는 연습생을 가수로 데뷔시킨다는 콘셉트로 큰 인기를 끌었다. 화제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악마의 편집’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순위 조작 논란도 여러 번 제기됐지만 일부 팬들의 항의 정도로 치부됐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시청자가 직접 투표 결과에 의혹을 제기하면서 문제가 커졌다. 지난 7월 시즌 4인 프로듀스 X(엑스)의 마지막 생방송에서 예상 밖의 연습생이 데뷔하면서 조작 논란이 불거졌고, 시청자들은 진상규명위원회까지 꾸려 제작진을 고발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시청자가 대형 기획사와 제작사 권력에 대항해 이겼다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도 근본적인 혁신이 없으면 또 비슷한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는 “모든 국민이 참여한다고 하지만 실상은 제작진이 스타를 내정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모순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이에 대항한 팬심이 승리한 것”이라면서 “이번 일을 시작으로 방송계 전반에 만연한 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수 문화평론가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성공 비결은 닫혀 버린 계층 간 이동 사다리에 절망하던 10~20세대에게 ‘뭐든 하면 된다’는 메시지를 줬기 때문”이라면서 “시청자가 보기에 바람직한 사람을 키워서 성공적으로 데뷔시킬 수 있다는 믿음이 컸다. 이를 배반하고 속인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특정 기획사와 제작사의 유착을 해결하고,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선정 과정을 어떻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9-11-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