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중 환승객 뒤섞여 혼잡한 김포공항역 3000명 늘어난 출근길 9호선 이용객 5개 노선, 30명 넘는 안전관리인력 배치
이미지 확대
11일 ‘5중 환승역’인 김포공항역에서 안전관리요원이 안내봉을 들고 질서 유지를 하고 있다. 역사 바닥에 김포골드라인, 서해선, 5호선 등 이동 방향이 안내돼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1일 ‘5중 환승역’인 김포공항역에서 안전관리요원이 안내봉을 들고 질서 유지를 하고 있다. 역사 바닥에 김포골드라인, 서해선, 5호선 등 이동 방향이 안내돼 있다.
“직진해서 내려가시면 좀 더 원활하게 열차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일 오전 7시 40분 김포공항역 지하 2층 대합실에 있던 안전관리 요원들이 환승 게이트에서 쏟아져 나오는 승객들을 분산시키기 위해 휴대용 마이크로 계속 안내 방송을 하며 분주하게 움직였다. 서울 시내 방향으로 가는 지하철 9호선과 공항철도를 탈 수 있는 지하 3층 승강장은 맞은편 노선에서 열차를 갈아타려는 환승객과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오는 다른 층 환승객이 뒤섞일 때마다 혼잡도가 극에 달했다.
9호선 급행열차를 기다리던 직장인 A씨는 “아침부터 비가 내려 오랜만에 지하철을 타려고 왔는데 예전보다 더 붐비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 1일 서해선 대곡~소사 구간 개통으로 ‘5중 환승역’(5·9호선, 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 서해선)이 된 김포공항역은 비 예보 소식에 이른 아침부터 혼잡했다. 대합실 곳곳에는 한 곳으로 집중되는 환승객들의 인파를 분리하기 위한 현수막과 배너가 환승 게이트 앞에 세워져 있었다. 환승객들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바닥에는 호선별 동선을 안내하는 유도선이 부착돼 있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날 오전에만 5개 노선에 배치된 안전관리 요원(응급구조사, 시니어 안전단 포함)이 30명이 넘는다. 공항철도는 서해선 대곡~소사 구간 개통 전에는 퇴근 시간대에만 8명이 안전관리를 맡았는데 지난 1일부터 12명으로 늘렸다. 출근 시간대에도 10명을 투입했다.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안전을 관리하는 시니어 승강기 안전단 소속 정모(71)씨는 “서해선 개통 이후에 승객이 늘어 공항철도는 역장까지 나와 비상근무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호선 환승객이 겹칠 때면 사람이 몰려 다른 에스컬레이터로 인파를 분산시키느라 바쁘다”면서 “사람이 너무 많아 에스컬레이터에서 사고가 날까 두렵다”고 털어놨다.
이미지 확대
11일 ‘5중 환승역’인 김포공항역 승강장에서 승객들이 9호선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1일 ‘5중 환승역’인 김포공항역 승강장에서 승객들이 9호선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출근 시간 환승객이 가장 많은 9호선은 이용객이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메트로9호선에 따르면 서해선 개통 직전 주간(6월 26일~30일) 평일 오전 7~9시 평균 수송 인원은 1만 4180명이었는데, 이달 3일부터 7일까지 같은 시간대 수송 인원은 1만 7298명으로 3000명 넘게 늘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