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 버클리 2학년으로 아직 아마추어 신분인 마이클 김은 16일(한국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아드모어의 메리언 골프장(파70·6천996야드)에서 열린 대회 사흘째 3라운드까지 4오버파 214타를 쳐 단독 10위에 올랐다.
올해 처음 US오픈에 출전한 마이클 김은 15번 홀까지 공동 3위를 달리며 순항했지만 마지막 3개 홀에서 보기, 더블보기, 보기로 타수를 잃어 선두에 5타 뒤진 10위로 밀렸다.
마이클 김은 경기를 마친 뒤 미국 골프 전문 매체 골프채널과의 인터뷰에서 “경기 도중 리더보드를 보면서 내가 몇 위인지 또는 선두와 몇 타 차인지 신경을 쓰지 않았다”며 “다만 찰 슈워젤이나 필 미켈슨, 루크 도널드와 같은 유명한 선수들과 경쟁한다는 사실에 기뻤을 뿐”이라고 말했다.
골프채널은 “비거리는 짧지만 퍼트 실력이 프로 수준인 마이클 김의 스타일이 전장 7천 야드가 되지 않는 이번 대회 경기장과 잘 맞는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이 대회 우승자 웨브 심프슨(미국)은 “메이저 대회에 처음 나왔다면 압박감이 심할 텐데 3라운드까지 잘 친 것을 보니 대단하다”고 평가했고 폴 케이시(잉글랜드) 역시 “나도 US오픈과 같은 큰 대회에 적응하는 데 몇 년이 걸렸다”고 마이클 김의 선전을 칭찬했다.
US오픈에서 아마추어 선수가 10위 이내의 성적을 낸 것은 1971년 짐 사이먼이 공동 5위를 차지한 것이 최근 사례다.
1980년 이후로는 2004년 스펜서 레빈(미국)의 공동 13위가 아마추어 최고 성적이다.
마이클 김은 “대학교에도 좋은 선수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줄 수 있게 돼 기쁘다”며 4라운드 선전을 다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