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표팀 맏형 주세혁 등 11명 출전
“메달 수는 그야말로 숫자에 불과해요. 이번 대회는 몇 개의 메달을 따느냐보다 내년 리우올림픽에서 얼마나 중국을 따라잡을 수 있을지 점쳐 보는 대회입니다.”
녹색 테이블의 아시아 최정상을 가리는 아시아탁구선수권대회가 26일부터 10월 3일까지 태국 파타야에서 열린다. 대표팀을 이끌고 태국행 비행기에 오르는 강문수(63) 총감독의 표정은 근심 반, 기대 반이었다.
이번 대회 관건도 세계선수권대회 및 기타 탁구대회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한두 종목을 제외하고 세계 최강 중국의 독주를 누가 어떻게 막을지 여부다. 부산대회의 경우 이상수-박영숙이 우승을 합작한 혼합복식을 제외하고 중국은 나머지 6개 종목에서 모조리 금메달을 쓸어 담았다.
특히 남자 세계 1위 마룽은 남자단식과 단체전에서 2관왕에 올라 역대 최다(11개) 금메달리스트로 이름을 올렸다. 그는 이번 대회에도 출전, 최소한 1개 이상의 금메달 추가가 예상되는 만큼 중국은 물론 아시아 탁구팬들의 눈길이 벌써부터 쏠리고 있다.
한국은 이번 대회에 모두 11명의 선수가 출전하는데, ‘맏형’ 주세혁(35)이 합류하면서 남자대표팀은 6명으로 늘었다. 지난 6월 세계랭킹을 기준으로 세계 20위 안에 든 주세혁, 정영식, 서효원, 양하은 등은 별도의 선발전 없이 대표팀에 승선했고 이상수, 장우진, 김민혁과 유은총, 송마음은 6월 대표 선발전을 통해 태극마크를 달았다. 조승민과 이시온은 협회 추천으로 합류했다.
한국의 이번 대회 전력은 썩 좋지 않다. 귀화 공격수 전지희, 최효주에 이어 부산대회 혼복 금메달리스트 박영숙의 공백이 너무 크다. 전지희와 최효주는 아직 귀화 연수를 채우지 못해 출전길이 막혔고 박영숙은 부상으로 선발전에서 탈락했다. 특히 전통적인 강세를 보여 온 혼합복식에서 박영숙이 빠진 터라 이시온을 비롯한 ‘영건’들의 파이팅이 절실하다. 여자단체전 역시 전지희가 빠진 구멍이 너무 크다.
강 총감독은 “여자단식과 복식에서는 서효은과 양하은에게 기대를 걸고 있지만 양하은의 경우에는 아르헨티나대회를 끝내고 이틀 전 대표팀에 합류해 컨디션을 얼마나 되찾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5-09-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