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시안게임 D-30] 황금 총잡이 진종오, 최강 자존심 회복 노려

[인천아시안게임 D-30] 황금 총잡이 진종오, 최강 자존심 회복 노려

입력 2014-08-20 00:00
수정 2014-08-20 04: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시아 金’ 벼르는 올림픽 스타들

‘아시안게임 문턱이 올림픽 문턱보다 높다?’

올림픽 무대를 평정했음에도 아시아 정상에 서지 못한 스타들이 인천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벼른다. 대표적인 선수가 사격 간판 진종오(35·KT)다. 그는 2004년 아테네올림픽 50m 권총에서 은메달을 딴 뒤 4년 뒤 베이징올림픽 같은 종목에서 금을 일궜다. 2012년 런던올림픽 때는 10m 공기권총과 50m 권총에서 금 2개를 수확, 세계 최고의 총잡이로 입지를 다졌다.

그러나 아시안게임과는 인연이 없었다. 2002년(부산)과 2006년(도하), 2010년(광저우) 3차례 연속 출전했지만 광저우 은메달이 개인전 최고 성적이다. 안방에서 개인전 첫 금메달을 따겠다는 각오가 그래서 더욱 굳다.

양궁 오진혁(32·현대제철)도 마찬가지. 런던올림픽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움켜쥐며 세계 정상에 서는 기쁨을 누렸지만 아시안게임에서는 활시위가 흔들렸다. 광저우대회 단체전 금메달이 전부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줄곧 세계 1위를 고수한 터라 개인전 금 기대가 높다.

남자 역도 사재혁(29·제주도청)도 금메달로 불운을 털어낸다는 각오다. 베이징올림픽 77㎏급에서 금을 캤지만 광저우 때는 어깨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했다. 런던올림픽에서는 경기 중 팔꿈치 탈구에 울었다. 지난해 다시 바벨을 잡고 지난 6월 태극마크를 단 그는 명예 회복의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는 의지다. 레슬링 정지현(31·울산남구청)은 아시아 정상에 마지막 도전장을 던진다. 아테네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그는 부산대회 당시 그레코로만형 55㎏에 나섰지만 노메달에 그쳤다. 도하 때는 66㎏에 도전했으나 태극마크를 다는 데 실패했고 광저우 때는 은메달에 머물렀다.

이효정과 짝을 이뤄 베이징올림픽 혼합복식에서 금을 딴 배드민턴 간판 이용대(26·삼성전기)도 유연성과 조를 이룬 남자복식에서 첫 금 사냥에 나선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4-08-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