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 시장 전망
삼성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투자 계획을 밝히면서 바이오제약 분야에 대한 국내외 경쟁업체들과 삼성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우선 삼성이 바이오제약 분야에서 가장 먼저 추진하는 CMO 사업의 경우 살아 있는 세포를 이용하다 보니 막대한 설비 투자 비용이 들어 진입 장벽이 높다. CMO 과정에서 주문 업체의 생산 노하우를 공유하게 돼 향후 자체 의약품 생산 과정에서 특허 도용 분쟁을 겪을 가능성도 크다. 때문에 현재 전 세계를 통틀어 CMO 사업을 하는 곳은 베링거인겔하임(독일·생산 규모 18만ℓ)과 셀트리온 (한국·14만ℓ), 론자(스위스·13만ℓ) 등 3곳뿐이다.
●CMO사업 전 세계 3개업체뿐
삼성이 2016년부터 생산 예정인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경우 국내에서는 현재 셀트리온과 LG생명과학, 한화케미칼 등이 식약청의 승인을 받아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제품 한개가 크게는 50억 달러(약 5조 5000억원)가 넘는 시장을 형성해 복제약만 개발해도 큰 수익을 거둘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업체 가운데 제품화에 성공한 곳은 아직 없다.
●인도 업체들 바이오시밀러 진출 노려
2013년부터 주요 바이오의약품들의 특허가 대거 풀리기 시작하면서 바이오시밀러의 수요 또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하더라도 화이자나 머크 등 기존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경쟁을 이겨야 하고, 복제약 대국인 인도 업체들도 대거 바이오시밀러 시장 진출에 나설 것으로 알려져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바이오시장 130조원… 年 16% 성장
삼성이 신약 개발이 아닌 단기에 매출을 볼 수 있는 복제약 생산에 나섰다는 점을 두고 아쉬워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국내 업체인 셀트리온이 14만ℓ 규모의 동물 세포 배양기를 설치하는 상황에서 삼성이 3만ℓ를 투자하는 것은 기대에 못 미치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5.9% 증가해 2009년 기준으로 약 1170억 달러(약 130조원)에 달한다. 특히 암 치료제 등으로 많이 쓰이는 항체의약품 시장이 최근 6년간 연평균 35.9% 성장하며 367억 달러(40조원) 규모를 이루고 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2-2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