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원 만장일치 1.25% 유지
이주열 “가계부채 가볍지 않다”… 4월 위기설엔 “근거 미약” 일축한국은행은 이달 기준금리를 금융통화위원 7명의 만장일치로 현재의 연 1.25%로 동결했다. 지난해 6월 0.25% 포인트 내린 이후 8개월째 같은 수준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23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과 영향,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통화정책 추이,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고려해 이처럼 결정했다”고 밝혔다. 폭발적으로 늘어난 가계부채와 미 연준의 3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금리 결정의 운신 폭을 좁힌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1344조원대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1년 새 무려 141조원 급증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를) 가볍게 볼 수만은 없다”면서 “올 들어 시장금리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 취약 차주의 채무 상환을 걱정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특히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총량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시장 일각에서 불거진 ‘4월 위기설’에 대해 근거가 미약하다고 일축했다. 이 총재는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과 대우조선해양의 회사채 상환 부담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면서 “하지만 이미 알려진 리스크(위험)여서 관계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있는 만큼 4월 위기설은 가능성이 적다고 본다”고 말했다.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에 대해서도 “지난해 2월 발효된 미국의 교역촉진법 기준으로 보면 한국은 (환율조작국에) 해당하지 않고 기존 종합무역법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2-2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