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시범서비스를 선보이며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ICT)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KT는 이번 올림픽 공식 파트너사 중 유일한 통신사다.
이미지 확대
황창규(맨 앞) KT 회장이 평창에서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KT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황창규(맨 앞) KT 회장이 평창에서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KT 제공
올림픽 개막식을 한 달 앞둔 지난달 10일, 황창규 KT 회장은 평창 현장을 직접 찾았다. 유별난 혹한 속에서 중계망 및 5G시범망 준비에 구슬땀을 흘린 직원들을 찾아 발열 조끼를 전하며 격려했다. 대회통신망과 방송중계망 운영을 맡은 KT는 평창, 강릉 일대에 5G 네트워크를 구축해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기술을 쏟아부었다. 2016년 11월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 ‘평창 5G 센터’을 일찌감치 열고 실증적인 5G 기술 연구를 해 왔다. 지난해 6월엔 대회통신망 및 방송중계망 준비를 마쳤고, 10월엔 5G 단말과 연동 테스트까지 끝냈다. 그동안 2년여에 걸쳐 투입된 연인원만 13만여명이다. 지난달부터는 통신망 운용 및 유지보수, 시스템 운영을 위해 1000여명의 인력이 활동 중이다.
황 회장은 지난해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MWC 2017’에서 “KT가 세계 최초로 5G 서비스 상용화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KT 관계자는 “세계 최초 5G 공통규격 완성에 이어 칩셋과 단말기, 시스템, 서비스를 모두 확보한 유일한 사업자로 5G 글로벌 생태계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2-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