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목포항로 취항하는 케이라인호 주식회사 제주케이라인이 제주∼목포항로에 정기적으로 운항할 예정인 6천800t급 복합화물선 케이라인호. 제주케이라인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제주∼목포항로 취항하는 케이라인호
주식회사 제주케이라인이 제주∼목포항로에 정기적으로 운항할 예정인 6천800t급 복합화물선 케이라인호. 제주케이라인 제공
주식회사 제주케이라인(대표이사 김동준)은 제주∼목포항로에 4.5t 자동화물 약 25대, 컨테이너 300여 개를 실을 수 있는 6천800t급 복합화물선 케이라인호를 26일부터 운항한다.
이 복합화물선(RO-RO/LO-LO Container & Vehicle Carrier)은 화물을 실은 차량인 자동화물을 직접 실을 수 있고, 선박 자체 크레인으로 컨테이너를 실을 수도 있다. 배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중량을 나타내는 재화 중량 톤수는 4천150t이다.
케이라인호는 이날 정오 목포항에서 출항해 오후 6시 제주항에 처음 도착한다.
선사는 앞으로 일주일 정도 시범 운항을 하며 내달 6일 오전 10시 30분 제주항 7번 선석에서 취항식을 하고 나서 매일 운항할 계획이다.
제주항 기준 입항 시각은 오전 11시, 출항 시각은 오후 5시다.
선사는 표준 화물운반대(팔레트) 6개가 들어가는 가로 3.6m, 세로 2.6m, 높이 2.6m의 컨테이너 중심으로 화물을 적재해 물류비용을 줄일 방침이다.
제주 용암해수 1호기업인 ㈜제이크리에이션과 제주의 물류 관계자들이 투자해 설립한 이 회사는 70억원을 들여 일본 후쿠오카조선에서 1997년 11월 건조한 이 화물선을 도입했다.
앞으로 3년간 25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해 선박을 추가 구입하고 물류창고 건립, 대형 규격 컨테이너 제작 등의 사업도 벌일 예정이다. 2016년에는 중국과 제주를 연결하는 항로에도 화물선을 운항할 계획이다.
김동준 대표는 “앞으로 컨테이너의 크기를 대형화하고 국제 규격화해 물류비를 줄이는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해상 물류는 물론 제주도내 물류와 타 지역의 물류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물류 시스템을 구축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