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평등 관련 변화상과 각종 여성정책, 여성운동 등 자료를 한 데 모은 성평등도서관 ‘여기’가 14일 서울 동작구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 내에 문을 연다.
성평등도서관은 약 857㎡ 규모로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의 여성 정책 자료와 여성운동, 여성단체, 여성기관 자료를 갖추고 있다. 관련 모임과 토론·전시 등을 열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도서관에서는 14일 오후 2시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관식이 열린다.
이어 국내 최초의 직장 내 성희롱 소송이었던 1993년 ‘서울대 신교수 사건’과 2005년 호주제 폐지 등을 중심으로 성평등 역사의 주요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젠더토크’ 행사가 열린다. 이 행사에는 박 시장과 강금실 변호사, 공지영 작가가 참석한다.
박 시장은 서울대 신교수 사건 당시 피해자 공동 변호인단에 참여했다.
젠더토크 참석자들은 이후 자신들이 갖고 있던 성평등정책 자료들을 기증한다. 박 시장은 서울대 신교수 사건과 부천서 성고문 사건, 여성국제전범재판 관련 자료 등 약 194종의 개인 소장 자료를 기증한다. 자료 기증에는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인 이희호 여사도 참여할 예정이다.
개관을 기념해 성평등도서관 내 갤러리인 ‘세마 브랜치’에서는 서울시립미술관이 소장한 천경자 화백의 작품 전시가 20일까지 열린다.
’여성운동계의 대모’로 불렸던 고(故) 박영숙 전 한국여성재단 이사장의 특별전도 열린다.
이숙진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대표는 “’성평등도서관 여기’는 성평등의 어제와 오늘, 내일을 잇는 국내 최초의 성평등 정책 전문 공간”이라며 “앞으로 여기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과 성평등 역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성평등도서관은 약 857㎡ 규모로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의 여성 정책 자료와 여성운동, 여성단체, 여성기관 자료를 갖추고 있다. 관련 모임과 토론·전시 등을 열 수 있는 공간도 마련됐다.
도서관에서는 14일 오후 2시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관식이 열린다.
이어 국내 최초의 직장 내 성희롱 소송이었던 1993년 ‘서울대 신교수 사건’과 2005년 호주제 폐지 등을 중심으로 성평등 역사의 주요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젠더토크’ 행사가 열린다. 이 행사에는 박 시장과 강금실 변호사, 공지영 작가가 참석한다.
박 시장은 서울대 신교수 사건 당시 피해자 공동 변호인단에 참여했다.
젠더토크 참석자들은 이후 자신들이 갖고 있던 성평등정책 자료들을 기증한다. 박 시장은 서울대 신교수 사건과 부천서 성고문 사건, 여성국제전범재판 관련 자료 등 약 194종의 개인 소장 자료를 기증한다. 자료 기증에는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인 이희호 여사도 참여할 예정이다.
개관을 기념해 성평등도서관 내 갤러리인 ‘세마 브랜치’에서는 서울시립미술관이 소장한 천경자 화백의 작품 전시가 20일까지 열린다.
’여성운동계의 대모’로 불렸던 고(故) 박영숙 전 한국여성재단 이사장의 특별전도 열린다.
이숙진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대표는 “’성평등도서관 여기’는 성평등의 어제와 오늘, 내일을 잇는 국내 최초의 성평등 정책 전문 공간”이라며 “앞으로 여기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과 성평등 역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