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들 “박정희 독재 면죄부… 교과서 불매 운동”

학부모들 “박정희 독재 면죄부… 교과서 불매 운동”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11-28 22:48
수정 2016-11-29 02: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민단체, 국정 역사교과서 비판

교육부가 28일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을 공개하자 교육 현장을 비롯한 시민단체들은 즉각 반발했다. 학부모들은 교과서 불매 운동을 벌이겠다고 나섰고, 시민단체들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독재에 면죄부를 주는 교과서라고 비판했다. 반면 보수단체들은 일단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역사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 공개 기자회견이 열린 28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전교조 회원들이 국정화 중단을 촉구하는 문구를 들고 항의에 나섰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역사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 공개 기자회견이 열린 28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전교조 회원들이 국정화 중단을 촉구하는 문구를 들고 항의에 나섰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28일 485개 시민단체가 모인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네트워크’(저지넷)는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교과서에 대해 ‘박근혜에 의한 박정희를 위한 효도 교과서’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끝났고 현재의 검정교과서에 충실히 기술돼 있지만 국정교과서는 박정희 시대를 미화하려 했다”며 “5·16 쿠데타 이후 박정희 정권 시절을 다루는 단원 제목을 ‘냉전 시기 권위주의 정치체제와 경제·사회 발전’으로 정한 것부터가 독재에 면죄부를 주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1948년 8월 15일에 대한 기술을 기존 교과서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서 ‘대한민국 수립’으로 바꾼 것에 대해서는 “‘건국절’을 사실상 교과서에 못박은 것”이라며 “교육부가 이승만을 ‘건국의 아버지’로 추앙하면서 친일 독재를 미화하는 뉴라이트의 농단에 놀아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철호 동국대 역사교육과 교수도 “박근혜 정권의 기반이 하나는 건국 세력이고 다른 하나가 근대화 세력인데 이 두 축에 대한 긍정적인 서술이 핵심”이라며 “이른바 건국 세력이란 게 정치적으로는 ‘분단 세력’이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친일하며 부를 축적한 ‘경제 세력’인데 이들이 건국이라는 명분하에 국가의 주도 세력이자 역사의 공로자로 둔갑하는 게 문제점”이라고 설명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교육청마다 대응팀을 마련하고 조직적으로 교육부 행보에 제동을 걸겠다고 했다. 선계훈 사무국장은 “역사를 가르치며 다양한 가치와 시각을 보여 줄 수 있는 자유발행제가 타당하며, 적어도 검인정제가 보장돼야 한다”며 “선진국 중 국정교과서 제도를 채택한 나라는 없다”고 지적했다. 박이선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 정책위원은 “학부모들이 불매 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반면 이명희 공주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그간 우리 역사 교과서는 국민들을 갈등하게 만들고 분열시키는 역할을 했다”며 “국정 역사교과서의 ‘대한민국 수립’ 표현은 1919년 3·1운동의 결과로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완성됐다는 것으로, 의미 부여 과정부터 차분히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일방적으로 국정화를 진행하는 것도 잘못이지만 잘못된 내용을 계속 가르치는 것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한편 보수단체로 분류되는 바른사회시민회의는 “우리는 다양성을 존중하는 자유민주주의를 추구하는 단체로, 국정교과서에 동조한 적 없다”며 국정교과서에 대한 판단을 유보했다. 근현대사를 전공하는 교수들로 이뤄진 한국근현대사학회(회장 박걸순 충북대 교수)는 “현장검토본이 공개된 만큼 분야별로 면밀한 검토 작업을 벌인 뒤 학회 차원의 평가 결과를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6-11-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