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얘기 나눴나
1일 7년 만에 열린 한국과 일본 대표 경제단체의 한·일재계회의는 양국의 정치적 관계와는 별도로 재계를 중심으로 경제 교류와 협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데 서로 뜻을 같이해 열렸다.
허창수(앞줄 오른쪽) 전경련 회장과 사카키바라 사다유키(왼쪽) 일본 게이단렌 회장이 1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한·일재계회의 회의장에 입장하고 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미국과 일본, 중국과 러시아 관련국 모두에 (이른바) 대박이 되는 슈퍼 동북아 경제권 실현을 위해 통일 한반도에 대해 일본 경제계의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사카키바라 사다유키 게이단렌 회장은 “한·일 관계 강화는 게이단렌의 매우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체제 강화와 양국 기업 간 새로운 산업분야에서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화답했다.
두 단체는 이날 공동성명에서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타결을 통한 아시아 경제 통합이 양국 이익과 부합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자유무역지대(FTAAP)를 구축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이들은 제3국에서의 인프라 정비 사업과 함께 양국 관광, 금융, 무역투자 확대, 환경·에너지, 소재·부품, 안전·방재, 운수·물류, 의료·간병, 스마트시티 등의 분야에서 산업협력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또 두 단체가 내년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사업을 벌이는 데 합의하고 경제협력 심포지엄, 차세대 리더 포럼 등을 공동 개최하기로 했다.
전경련은 비공개로 열린 회의가 끝난 후 브리핑에서 두 단체가 아시아 경제 통합, 양국 산업협력,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행사 등 크게 세 가지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회의에서 산업협력과 관련해 한국이 일본에서 기술을 이전받은 1세대 협력, 부품소재 분야에서 협력을 집중한 2세대 협력, 경쟁 단계까지 나아간 3세대 협력에 이어 경쟁을 넘어 차세대 에너지, 스마트시티 등 미래의 공통 관심 분야에서 손을 잡는 4세대 협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1964년부터 시작된 양국 경제계 기업인들의 만남은 한·일 재계회의로 이어져 양국 간 경제 현안과 관련한 공식 대화 통로로 적잖은 역할을 했다. 하지만 2008년 양국 간 정치, 역사 문제의 골이 깊어지자 회의가 7년간 중단됐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명희진 기자 mhj48@seoul.co.kr
2014-12-0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