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역 주변 ㎡당 4만 9400원… 5분기 만에 전분기보다 0.5%↓
가로수길, 강남역 등 콧대 높던 서울 강남권 상권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를 피해 가지 못했다. 올해 2분기 신사역, 압구정, 삼성역, 강남역 등 주요 강남 상권 임대료는 메르스 영향으로 소비자와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21일 부동산114가 분석한 상권 임대 동향에 따르면 올 2분기 서울 강남권역 상권의 임대료는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다. 강남에서 가장 비싼 임대료를 보이고 있는 신사역은 5분기 만에 상승세가 꺾였다. 신사역 상권의 월 임대료는 ㎡당 4만 9400원으로 전 분기보다 0.5% 감소했다. 지난해 2분기(4만 2900원)보다 15% 오른 수치지만 메르스로 인해 관광객 비중이 감소하면서 상승세를 이어 가지 못했다. 압구정도 정부의 부동산 경기부양정책 속에 6분기 연속 임대료가 상승했으나 올 2분기에 접어들면서 전 분기보다 2% 내린 4만 8700원으로 조사됐다. 압구정은 지난해 2분기 임대료가 4만 5600원으로 신사역보다 많았지만 올 2분기 들어 1위 자리를 내줬다. 김민영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가로수길, 세로수길 등 지역 수요와 유동 인구, 관광객들이 많은 신사역과 달리 압구정은 성형외과를 중심으로 의료관광을 즐기는 중국인 관광객 등이 메르스로 인해 크게 줄면서 임대료도 큰 폭으로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2분기 만에 임대료 상승이 멈춘 강남역과 삼성역 상권도 메르스로 인해 유동인구가 줄면서 각각 전 분기보다 3.2%, 0.5% 내린 3만 4400원, 3만 7000원을 나타냈다. 2분기 서울 평균 상권 임대료 하락률은 0.2%(임대료 1㎡당 2만 5600원)로 서울 강남 상권의 하락률이 더욱 컸다. 강북에서는 중국인 관광 코스인 ‘화장품 골목’ 이화여대 상권이 치명타를 입었다. 임대료가 지난해 2분기보다 무려 28%, 전 분기보다는 5.2% 감소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7-2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