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3법 시행령에 기업 요구 반영할 것”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은 끝까지 반대 계획
“정부가 사고 예방 강화에 먼저 나서야”
“야당 노선 불분명하고 이견 많아”쓴소리도

서울신문 DB
손경식 경총 회장이 지난해 12월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경영발전자문위원회에서 인삿말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손경식(사진·81)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지난 18일 서울 마포구 경총회관에서 비공식 차담을 열어 “저도 기업을 오래 경영해 왔지만 올해처럼 힘든 해는 1998년 외환위기 외엔 없었다. 우리 기업에 부담을 주는 법이 무더기로 통과돼 더욱 마음이 무겁다”며 이같이 밝혔다.
손 회장은 더불어민주당이 입법을 추진하고 있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은 끝까지 저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예방은 소홀히 하면서 일자리를 만들어준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는 처벌할 테니 알아서 사고를 잘 막으라는 건 어폐가 있다. 정부가 해야할 일을 안하고 기업만 다그쳐서는 곤란하다”고 비판하며 “기업들이 산업재해보험료를 많이 내는 반면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공단 등의 활동이 효과를 거두고 있지 못한 만큼 정부가 사고 예방 강화에 먼저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손 회장은 최근 LG그룹의 계열 분리에 대해 미국 행동주의 헤지펀드 화이트박스 어드바이저스가 반대 서한을 보낸 것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그는 “국내 기업 활동에 대한 미국 헤지펀드들의 (개입)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여 걱정”이라며 “해외 헤지펀드들이 국내 기업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어 별도의 경영권 방어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경제3법 통과와 관련, 정치권에 대한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그는 “여당은 정치적 이념으로 정한 걸 양보하지 않으려 하고 야당은 노선이 불분명하고 내부 목소리가 서로 달라 여당이 법안 통과에 부담을 덜 느꼈을 수 있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손 회장은 정부가 내년 우리 경제가 3.2% 성장할 거란 전망을 내놓은 데 대해 “정부 전망은 코로나19가 잡힐 것으로 본 건데 코로나19 확산세를 반영한 한국은행 전망치(2.2%)가 정답에 가까울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