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채 67.5% 자국민·기관 보유…불이행 땐 은퇴자 등 최대 피해
미국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일부 국채를 상환하지 않을 수 있다거나 “돈을 찍어내 빚을 갚겠다”는 등의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지만, 트럼프의 구상대로 미국 정부가 채무불이행(디폴트)을 한다면 가장 큰 피해는 미국 국민에게 돌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10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19조 1255억 달러인 전체 미국 공공부채 가운데 67.5%에 해당하는 12조 8893억 달러어치 채권을 미국 기관이나 개인이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약 5조 300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사회보장연금을 비롯한 정부의 신탁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다. 또 5조 1000억 달러어치 채권은 주정부와 개인 등이 갖고 있다. 나머지 2조 5000억 달러 상당의 채권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에서 보유하고 있다.
외국이 보유한 6조 2362억 달러어치 미국 국채 가운데 중국의 보유 규모가 1조 2523억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이 1조 1331억 달러로 2위였다. 한국은 782억 달러로 18위였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CNN머니는 미국의 공공부채 규모 중 10조 달러 이상이 미국인의 저축이나 사회보장제도와 직접 연관돼 있고 특히 은퇴자나 노인들이 미국 국채를 매입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트럼프가 채무 재조정을 위한 ‘협상’에 나선다면 미국인의 투자 원금에 손해를 입힐 것이라고 풀이했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6-05-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