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에 대한 이야기 한 자락. 몽골의 들녘엔 없는 게 대부분이다. 화려한 빌딩에 안락한 호텔은 고사하고 화장실도 없고 세수할 물조차 귀하다. 고비사막은 더하다. 아무것도 없다. 그런데도 지구별 많은 이들이 몽골의 초원을 향해 꾸역꾸역 몰려든다. 특히 한국인들에겐 한창 ‘핫’(hot)한 여행지로 떠오르는 중이다. 대체 왜?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새 책 ‘당신에게, 몽골’이 답하는 방식은 이렇다. “물질의 홍수 속에서도 채워지지 않는 궁핍과 결핍의 시대에 처한 반도의 현대인들에게 원시의 삶이 아직 남아 있는 몽골은 자극이며, 반성이며, 자유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없는 곳에 뭐하러 가느냐 묻는다면 아무것도 없는 것을 보러 간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그럼 아무것도 없는 곳에 가면 무얼 해야 할까. 당신은 이미 답을 알고 있다. 바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다.
책은 이 출판사의 ‘당신에게’ 시리즈 가운데 하나다. 사실 여느 여행서처럼 그리 친절한 안내서는 아니다. 몽골의 초원이, 사막이 당신에게 그리 친절하지 않은 것과 닮았다. 안내할 만한 게 딱히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맛집도, 탈 것도, 잘 곳도 드물다는 걸 상기하시라.
그래서 책은 몽골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췄다. 키워드는 모두 39개다. 망망한 초원에 쉼표처럼 찍혀 있는 몽골인의 집 게르, 눈 속에 바다를 담고 있는 몽골의 낙타 티메, 작지만 강한 몽골의 말, 말젖을 발효시켜 만든 술 아이락 등이다. 이 낯선 단어 하나하나가 당신을 몽골로 인도하는 징검다리 노릇을 톡톡히 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4-06-2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