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참배한 알링턴묘지·한국戰기념비는

朴대통령 참배한 알링턴묘지·한국戰기념비는

입력 2013-05-07 00:00
수정 2013-05-07 09: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근혜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미국 방문 두 번째 기착지인 워싱턴에서의 첫 일정으로 잡은 ‘알링턴 국립묘지’(Arlington National Cemetery)’는 미국이 국내외에서 수행한 각종 전쟁의 희생자 유해가 묻힌 곳이다.

하와이에 있는 ‘펀치 볼 국립묘지’와 함께 미국의 양대 국립묘지로 불린다.

애초 1864년 남북전쟁 전사자 묘지로 설립된 이곳에는 1·2차 세계대전, 6·25전쟁, 베트남전쟁, 걸프전 등에서 전사한 미국의 참전용사들이 잠들어 있다.

또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과 권투 헤비급 세계 챔피언인 조 루이스, 우주왕복선 챌린저호 폭발 사고로 사망한 우주 비행사 2명의 유해도 안치돼 있다. 특히 케네디의 묘역에는 꺼지지 않는 ‘영원의 불(eternal flame)’이 묘비를 밝히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알링턴 국립묘지 내 신원 미상의 전사자 무덤인 ‘무명용사의 묘’에는 커다란 대리석 묘비가 세워져 있고 항상 위병이 지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알링턴 국립묘지에 이어 방문해 헌화한 ‘한국전 참전기념비’(Korean War Veterans Memorial)는 지난 1995년 7월 김영삼 전 대통령 방미에 맞춰 제막된 기념물이다. ‘Freedom is not free(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유명한 문구가 새겨져 있다.

6·25 전쟁 참전 용사들이 1985년 기념비 건립을 위한 모임을 직접 구성한 뒤 미국 의회의 공식 승인을 받았으며 1992년 착공해 3년 만에 완공됐다. 한국 대기업의 여러 현지법인도 성금 형식으로 건립 비용을 보탰다.

육군, 해군, 해병, 공군의 당시 모습에 백인과 흑인, 히스패닉계 등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된 19인의 군인상 가운데 대형 성조기가 세워져 있다.

한국의 역대 대통령들은 미국을 방문할 때마다 알링턴 국립묘지와 한국전 참전 기념비를 찾아 헌화하고 참배했다.

연합뉴스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서울시의회 허훈 의원(국민의힘, 양천2)은 지난 30일 이기재 양천구청장과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목동6단지와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를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주민간담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방문은 목동신시가지 단지 재건축과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 통합개발의 신속 추진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방문한 목동6단지는 전체 14개의 목동신시가지 단지 중 가장 빠르게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단지로,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해 사업 절차가 대폭 단축됐다. 최근에는 서울시가 24일 발표한 ‘주택공급 촉진방안’의 첫 공정관리 시범사례로 지정돼, 정비사업 전 단계를 기존 18.5년에서 13년으로 단축하고, 단계별 공정 집중 관리를 통해 11년 이내 착공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동6단지의 선도적인 추진을 필두로, 연내 전 단지 결정고시와 조기착공 시범사업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14개 전체 단지 정비계획을 결정 고시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목동 6·8·12·13·14단지에 대한 정비계획 고시를 완료했고, 목동 4·5·7·9·10단지는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가 끝났다. 목
thumbnail -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