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1일 세월호특별법 협상방향을 놓고 당내에서 막판 핑팽한 줄다리기를 벌였다.
지난 7일 여야 원내대표 간 합의에 ‘특별검사 추천권’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희생자 유가족과 당 내부에서 거센 재협상 요구가 잇따르고 있지만, 지도부는 전체 합의안의 틀 안에서 추가협상을 통해 특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맞섰다.
이날 오후 의원총회를 앞두고 ‘반대파’들은 더욱 거세게 합의안 파기와 재협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이날 라디오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해 “새정치민주연합은 민심 앞에서 침몰 직전의 난파선같은 입장”이라면서 “7·30 재보선 패배가 아픈 것이 아니라 그 이후 방향을 잘못 잡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날 광화문 유가족 단식농성에 합류한 정 고문은 “당을 다시 살리려면 이것을 무효화하고 재협상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며 “오늘 의총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전면에 끌어내고 책임을 추궁하는 것과 진상규명을 위한 실효성 있는 수사권이 핵심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못박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원식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진상규명의 핵심은 제대로 된 특검이다. 가족이 거부하는 특별법은 다시 해야 한다”라고 촉구했고, 천정배 전 의원도 “많은 의원들이 잘못된 세월호특별법 합의를 파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희망을 갖는다”라고 밝혔다.
초·재선 의원을 주축으로 한 혁신모임 ‘더 좋은 미래’도 이날 정기모임에서 재협상 요구 입장을 재확인하고 당 혁신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특검 추천권에 대한 추가협상 카드를 꺼내든 당 지도부는 지난 7일 합의에는 변함이 없지만, 합의의 틀 안에서 후속 실무협상을 통해 야당 또는 진상조사위가 사실상 특검 추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우윤근 정책위의장이 새누리당 주호영 정책위의장과 이틀 연속 만나 특검 추천권 문제 등을 논의했으나 아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또 세월호 국조특위 증인채택 협상마저 난항을 겪고 있어 하나의 ‘패키지’로 묶인 여야 원내대표 합의가 통째로 무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온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일단 국정조사 증인채택 문제가 타결이 돼야 한다”면서 원내대표 합의와 증인채택 문제가 연계된 것이냐는 물음에 “당연히 연계돼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법과 국조특위 등 2가지 실무협상이 모두 파행한다면 자연스럽게 7일 합의가 무효로 돌아간다는 점에서 재협상을 요구하는 당 안팎의 반발이 일단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에 대해 한 원내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증인 협상이 안돼 합의안이 무산되면 우리가 재협상을 하는 게 아니라 새누리당에 공을 넘기게 되는 것”이라면서 재협상 요구에 승복하는 게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지난 7일 여야 원내대표 간 합의에 ‘특별검사 추천권’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희생자 유가족과 당 내부에서 거센 재협상 요구가 잇따르고 있지만, 지도부는 전체 합의안의 틀 안에서 추가협상을 통해 특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맞섰다.
이날 오후 의원총회를 앞두고 ‘반대파’들은 더욱 거세게 합의안 파기와 재협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이날 라디오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해 “새정치민주연합은 민심 앞에서 침몰 직전의 난파선같은 입장”이라면서 “7·30 재보선 패배가 아픈 것이 아니라 그 이후 방향을 잘못 잡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날 광화문 유가족 단식농성에 합류한 정 고문은 “당을 다시 살리려면 이것을 무효화하고 재협상에 나서는 수밖에 없다”며 “오늘 의총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전면에 끌어내고 책임을 추궁하는 것과 진상규명을 위한 실효성 있는 수사권이 핵심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못박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원식 의원은 트위터를 통해 “진상규명의 핵심은 제대로 된 특검이다. 가족이 거부하는 특별법은 다시 해야 한다”라고 촉구했고, 천정배 전 의원도 “많은 의원들이 잘못된 세월호특별법 합의를 파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희망을 갖는다”라고 밝혔다.
초·재선 의원을 주축으로 한 혁신모임 ‘더 좋은 미래’도 이날 정기모임에서 재협상 요구 입장을 재확인하고 당 혁신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특검 추천권에 대한 추가협상 카드를 꺼내든 당 지도부는 지난 7일 합의에는 변함이 없지만, 합의의 틀 안에서 후속 실무협상을 통해 야당 또는 진상조사위가 사실상 특검 추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우윤근 정책위의장이 새누리당 주호영 정책위의장과 이틀 연속 만나 특검 추천권 문제 등을 논의했으나 아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또 세월호 국조특위 증인채택 협상마저 난항을 겪고 있어 하나의 ‘패키지’로 묶인 여야 원내대표 합의가 통째로 무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온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일단 국정조사 증인채택 문제가 타결이 돼야 한다”면서 원내대표 합의와 증인채택 문제가 연계된 것이냐는 물음에 “당연히 연계돼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법과 국조특위 등 2가지 실무협상이 모두 파행한다면 자연스럽게 7일 합의가 무효로 돌아간다는 점에서 재협상을 요구하는 당 안팎의 반발이 일단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에 대해 한 원내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증인 협상이 안돼 합의안이 무산되면 우리가 재협상을 하는 게 아니라 새누리당에 공을 넘기게 되는 것”이라면서 재협상 요구에 승복하는 게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