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이 22일 오후 6시 판문점에서 고위급 접촉을 하기로 전격 합의하면서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북한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이 10개월여 만에 다시 대면했다. 북한 황병서 북한군 총정치국장이 2014년 10월 4일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영비 오찬장에서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북측의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를 만나 회담을 나누고 있다. 이같은 구성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회담의 성격과 주제도 이전과는 다를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남북의 고위급들이 한 자리에 모인 만큼 군사적 도발이나 확성기 방송 외에도 남북 관계 전반에 대해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회담 내용에 따라 남북간 갈등 상황이 더욱 고조될 것인지, 대화국면으로 전환될지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박근혜 정부 이후 남북 관계의 주요 사항들을 정리해봤다.
■ 2013년
▲ 2.25 = 박근혜 대통령 취임
▲ 3.8 = 北, 남북 불가침 합의 폐기, 판문점 연락 채널 단절 선언
▲ 4.8 = 北,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가동 중단
▲ 7.10 = 北, 금강산관광 재개 회담·이산가족상봉 실무회담 제의
▲ 9.16 = 개성공단 재가동
■ 2014년
▲ 1.1 = 北 김정은, 신년사 발표 “남북관계 개선 분위기 마련” 촉구
▲ 1.6 = 박근혜 대통령 “통일은 대박” 기자회견…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제안
▲ 1.16 = 北 국방위 ‘중대제안’ 발표, 상호 비방중상·군사적대행위 중단 제의
▲ 2.12 = 남북고위급접촉 개최…이산가족 상봉·비방중상 중단 등 협의
▲ 2.20∼25 =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
▲ 3.28 = 박 대통령, 독일 드레스덴에서 평화통일기반 구축 위한 3대 제안발표
▲ 4.12 = 北 국방위 대변인 담화, 드레스덴 선언 비난
▲ 7.7 = 北, 인천 아시안게임 응원단 파견 발표
▲ 8.11 = 정부, 2차 남북고위급접촉 개최 제의
▲ 8.28 = 北, 인천 아시안게임 응원단 불참 입장 표명
▲ 9.11 = 인천아시안게임 참가 북한 선발대 도착
▲ 9.24 = 박 대통령,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 인권 문제 제기
▲ 10.4 =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 계기 北 황병서·최룡해·김양건 방남
▲ 10.15 = 南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北 김영철 정찰총국장 군사당국자 접촉
▲ 12.29 = 류길재 통일부 장관, 북측에 통일준비위원회 회담 제의
■ 2015년
▲ 2.24 = 북, 개성공단 최저임금 5.18% 인상 일방 통보
▲ 4.2 = 정부, 개성공단 임금동결 공문 입주기업에 발송
▲ 4.27 = 정부, 5·24 조치 이후 첫 대북 비료지원 승인
▲ 5.1 = 정부, 민간·지자체 남북 교류 활성화 방안 발표
▲ 5.22 = 남북, 개성공단 임금 관련 확인서 문안 합의
▲ 7.16 = 6차 개성공단 남북공동위원회 임금 협의 불발
▲ 8.4 = 북한 비무장지대 목함지뢰 도발 사건 발생
▲ 8.5 = 南, 이산가족 상봉·금강산 관광 등 논의 고위급 회담 제안…北, 관련 서한 수령 거부
▲8.18 = 남측 개성공단관리위원회-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개성공단 최저임금 5% 인상 합의
▲ 8.20 = 경기도 연천서 北 서부전선 포격도발 사건 발생
▲ 8.22 = 김관진 국가안보실장-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판문점 접촉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