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영철 “조기 탈당 목소리 커져”, 홍문표 “부분통합이라도 빨리” 재촉
자유한국당이 친박(친박근혜) 청산의 칼을 빼내 들면서 바른정당 통합파들의 ‘결행’ 시점이 앞당겨질지 관심이 쏠린다.부분통합이라도 강행해야 한다는 탈당파들은 ‘길’을 터준 한국당 홍준표 대표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라도 조기 탈당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서서히 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친박청산을 보수통합의 최대 명분으로 내세워 온 만큼 아예 일찌감치 복당해 홍 대표의 친박청산 작업에 힘을 보태야 한다는 주장이다.
바른정당 통합파들은 국정감사가 열리는 오는 31일까지는 행동하지 않겠다고 공언한 만큼 탈당 시점은 빨라도 11월 첫째 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파들은 여전히 양당 지도부 간 논의를 통한 당대 당 방식의 전면통합 가능성에 일말의 기대를 걸고 있지만, 자강파의 완강한 반대로 인해 사실상 일부 의원들이 이탈해 한국당에 복당하는 부분통합 방식으로 진행될 전망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통합파인 황영철 의원은 2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홍 대표가 어렵사리 친박청산 작업을 시작했으니 우리가 되도록 일찍 들어가서 동력을 살려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며 “몇 일이라고 못 박을 순 없지만, 속도를 올리자는 의견이 다수”라고 말했다.
다만, 황 의원은 “일단 11월 13일 전당대회를 마지노선으로 잡아놨으니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면서 “탈당 시점은 빠르면 11월 첫째 주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계 핵심인 서청원·최경환 의원에 대한 출당 조치 착수로 한국당이 내분에 휩싸인 것이 오히려 통합파들의 조기 탈당을 부채질하는 측면이 있는 셈이다.
특히 친홍(친홍준표)계 인사들은 바른정당 탈당파들이 홍 대표의 구원군이 될 수 있는 만큼 하루속히 복당하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하는 상황이다.
한국당 홍문표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ytn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탈당파들이) 좀 빨리 오기를 바라는 뜻에서 어떤 데드라인을, 한계를 두고 진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체가 오기는 어려우니 부분통합이라도 빨리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안 오시는 분들에 대해선 어쩔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친박계를 중심으로 한 한국당 일부 의원들은 여전히 바른정당 탈당파의 복귀를 원하지 않고 있어 향후 이들이 세를 모아 집단 반발할 경우 부분통합 역시 제 속도를 못 낼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탄핵을 반대했던 기존의 사람들이 탄핵을 찬성했던 사람들한테 오히려 축출되는 모습은 올바르지 않다는 의견도 꽤 있다”며 “바른정당 통합파들이 한국당으로 이동하는 게 어려운 상황이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바른정당 자강파들은 한국당의 집안싸움으로 오히려 탈당 명분이 약해졌다고 자평하는 분위기다.
홍 대표와 서 의원 간 설전이 ‘성완종 사건’과 관련한 진실공방으로까지 흐르면서 친박청산의 애초 의미가 퇴색됐다는 주장이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t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이 보기에 홍 대표나 서 의원은 둘 다 썩은 보수”라며 “탈당 명분이 확 약해지면서 탈당 규모는 최대 5명으로, 극소수에 불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