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자회담 대표’ 워싱턴 회동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은 끝까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철회를 관철하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임성남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국무부 청사에서 글린 데이비스 미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만나 북한 미사일 발사 대책을 협의했다. 임 본부장은 회담 후 기자들에게 “한·미 양국은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실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극대화하자는 데 합의했다.”며 “만약 실행에 옮길 경우, 지난 4월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성명에 따라 안보리가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점에도 의견 일치를 봤다.”고 설명했다.임 본부장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따른 금융 제재 여부에 대해서는 “(제재 방안의) 각론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단계는 아니다.”라면서 “현재로서는 북한이 (발사를) 중단하는 게 최선의 상황이고 일단 그쪽에 무게를 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발사 중단을 위한 노력과 관련, “한·미 간 외교적 노력도 강화돼야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가 동참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본부장은 데이비스 대표와의 양자 회동에 이어 일본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스기야마 신스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과도 만나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간 약식 협의를 했다.
유엔 안보리는 이날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안보리 순회 의장을 맡은 모하메드 룰리치키 유엔 주재 모로코 대사는 기자들에게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며 “발사가 강행되면 안보리는 협의를 거쳐 적절한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타르를 방문 중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이날 북한의 발사 계획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그것은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떠한 발사도 금지하는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에 대한 명백한 위반으로 동북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킬 것”이라면서 북한에 미사일 발사 결정을 재고하고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활동을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한편 북한이 발사 계획을 공식 발표하기 전 외교 통로를 통해 일본에도 통보했다고 니혼TV가 5일 보도했다. 통보 시점은 북한이 미국에 발사 계획을 통보한 시간과 비슷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를 공식 발표 전 일본에 통보한 것은 처음이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12-0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