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 협력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7일(현지시간)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 양국은 정치·외교 분야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특히 청와대는 이번 박 대통령의 방미를 통해 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협력기반 마련, 국민체감형 편익 창출,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등 크게 세 가지 실질적 성과를 거뒀다고 발표했다.한·미 양국은 청정에너지와 정보통신 등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협력 강화를 이번 정상회담의 가장 주요한 경제적 성과로 꼽고 있다.
양국은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미국은 에너지부) 장관 간에 ‘한·미 에너지 협력 장관 공동성명’을 동시에 발표했다. 양국 간 셰일가스 기술·정보 교류, 가스하이드레이트(gas hydrate) 협력 확대, 청정에너지 공동 연구개발, 2014년 한국이 의장국인 제5차 청정에너지 장관회의(CEM) 성공 개최 등의 내용이다.
청와대는 “에너지 분야에서의 양국 간 기존 협력 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하고, 청정에너지 등 상호이익이 되는 분야로 협력을 확대·심화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자평했다.
셰일가스는 채굴과정에서 공해가 적게 발생하고 확인된 매장량만 전 세계가 앞으로 6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천연가스로 ‘21세기 금광’으로 불린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연두교서에서 셰일가스 산업을 미래 에너지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을 만큼 관심이 높다.
‘불타는 얼음’으로 불리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천연가스가 저온 고압의 상태에서 물과 결합해 형성된 고체 연료로 공해가 없고 채산성이 높은 차세대 에너지원이다.
양국은 또 한·미 간 정보통신기술(ICT) 협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차관급(잠정) 연례 정책 협의회를 설립하기로 했다. 미국 측은 국무부의 ICT 담당 대사(차관급)를 수석대표로 제안했다.
청와대는 “미국의 ICT 정보를 신속히 국내에 전파하는 동시에 우리 관련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가속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자평했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5-0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