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휴일 여가활동 1순위는 TV·DVD 시청

서울시민 휴일 여가활동 1순위는 TV·DVD 시청

입력 2013-08-28 00:00
수정 2013-08-28 07: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희망하는 여가 활동은 여행…절반이 ‘돈보다는 여유’

서울 시민 절반은 주말과 휴일 여가활동으로 TV, DVD를 시청하고 있고 여행을 가는 비율은 열명 중 1명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한달간 15세 이상 4만9천7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서울서베이 자료를 바탕으로 시민의 여가·문화 생활 실태를 분석해 28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43.7%는 주말, 휴일 여가 활동으로 TV, DVD 시청을 꼽았고 휴식(아무것도 하지 않음)이 10.7%로 뒤를 이었다.

TV 시청은 2010년 조사 때 48.1%로 나타난 것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여행 및 나들이(9.3%), 컴퓨터 게임(6.8%), 운동(6.0%), 취미활동(4.2%) 등 다른 여가 활동보다 압도적으로 비율에서 높았다.

반면 희망하는 여가활동은 여행이 29.4%로 가장 높았고 TV시청(18.1%), 문화예술관람(11.6%), 운동(9.3%) 등으로 조사됐다.

소득별로 보면 200만원 미만인 가구는 주말 여가활동으로 TV 시청을 꼽은 비율이 평균보다 높은 58.7%를 기록했고, 500만원 이상인 가구는 평균보다 낮은 37.4%로 나타나 소득이 높아질수록 TV시청보다 다른 여가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민 46.4%는 주말, 휴일 여가를 가족과 함께 보냈다. 혼자 보내는 비율은 30대 13.3%, 40대 16.2%, 50대 21.4%, 60대 29.7% 등 40대 이후부터 높아졌다.

성별 여가 불균형도 나타났다. 시가 통계청의 200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말 평균 여가는 남자가 6시간 54분, 여자가 5시간 52분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사노동에 할애하는 시간은 여성이 3시간 6분, 남성 47분이었다.

여가활동 만족도는 22.3%였고, 남성(22.9%)이 여성(21.5%)보다 높았다.

여가활동의 장애요인은 경제적 부담이 62.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시간부족(23.1%)이었다.

1년간 한 번이라도 문화예술 작품이나 스포츠 경기를 관람한 시민은 65.0%였지만 이 중 57.3%가 영화 관람이었고 전통예술공연(4.2%), 음악·무용 발표회(4.9%) 등은 낮게 나타나 영화 관람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민 48.9%는 서울의 전반적인 문화 환경에 만족했으며, 만족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8.3%였다.

서울시는 “조사대상자의 46.8%가 더 많은 수입을 위해 일하는 것보다 여가를 갖고 싶다고 답할 정도로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증가하고 있어 그에 맞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