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입장과 반응
새누리당과 교육부가 12일 당정협의회에서 한국사 대입 연계 방침을 확정한 것과 관련, 환영과 우려가 뒤섞인 반응이 나왔다. 대입 연계만큼 역사교육 강화에 힘을 실어주는 방법이 없다고 주장하는 측은 나아가 한국사를 수능 필수로 지정할 것을 주장했다. 반면 대입 연계로 인해 한국사 교육이 주입식·암기 위주로 왜곡돼 역사 과목에 대한 혐오감을 키울 것이란 혹평도 나왔다. 한국사 대입 연계 방침에 대한 각계 의견을 들어봤다.
안양옥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장
학부모나 국민 모두 역사교육 강화에 대해 긍정적이다. 다른 차원에서 보면 박근혜 정부가 이야기하는 창조경제가 과학교육으로만 실현되는 게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을 필요로 한다.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역사교육을 강조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논의되는 한국사 대입 연계는 역사 인식이 왜곡된 현 상황에서 효율적인 방안이다. 암기식 수업, 사교육 팽배 주장은 지나친 우려로 보인다.
이두형 우리역사교육연구회장
한국사를 대입과 연계하면 아이들의 역사인식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만 획일화된 교육이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한국사 교육 강화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대입과 연계한다면 거기서 끝날 게 아니라 각 대학이 학생 선발 시 한국사를 반영하도록 입시 전형을 고쳐야 한다. 대학이 반영하지 않으면 대입 연계라 해도 대충 공부하고 시험 보고 ‘버리는 과목’으로 남을 수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글로벌 시대에 선진국에서는 자국 역사를 알고 다른 나라의 역사도 공부하도록 가르치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올바른 역사 교과를 만드는 일과 역사 교육의 콘텐츠를 다양화하는 것이다. 바른 역사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교과서 검증 시스템을 제대로 갖출 필요도 있다. 또 한국사를 대입과 연계하더라도 학생들이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다양한 교육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정책실장
한국사 대입 연계는 학생 평가체제의 근본을 흔들 수 있다. 윤리 인식이 낮다고 경제 상식이 부족하다고 대입에 연계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교육과정의 개혁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또 한국사 대입 연계의 갑작스러운 논쟁화는 박근혜 대통령의 한마디 말 때문인데 짧은 시간 동안 충분한 검토가 있었다고 보기 힘들다.
이윤호 한국사회과교육학회장
사회 교과목의 목표는 바람직한 시민 양성이다. 그런데 한국역사연구회 등의 욕심 때문에 한국사에만 독립적이고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면서 균형 있는 시민교육이 흔들리고 있다. 총 10과목인 사회탐구 과목 중 현재 2과목을 선택하게 돼 있는데, 이는 수업부담을 줄이고 선택 집중을 하라는 취지였다. 애초 4과목에서 줄였던 선택과목을 다시 늘릴 경우 학생들의 수업부담이 가중될 게 뻔하다.
유성룡 1318 대학진학연구소장
한국사가 강조된 이유는 그동안 서울대가 이를 필수로 지정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대 입학생들의 역사의식이 다른 학생들보다 높은 것은 아니다. 현재 구조에서 한국사는 입시 과목의 하나로 여겨진다. 한국사를 대입에 연계한다면 입시 부담만 가중시킬 것이다. 역사의식이 고취되는 게 아니라 점수 올리기에 급급하게 되고, 사교육이 늘어날 우려도 있다.
정리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8-1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