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번도 더 연습할 트랙 생긴다… 이젠 안 두렵다”

“300번도 더 연습할 트랙 생긴다… 이젠 안 두렵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15-12-15 23:42
수정 2015-12-16 05: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봅슬레이 원윤종·서영우, 스켈레톤 윤성빈 월드컵 사상 첫 메달 영웅 금의환향

“평창에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겠다.”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IBSF) 월드컵에서 놀라운 성적을 거둔 ‘태극전사’들이 15일 금의환향했다. 대한민국 봅슬레이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1, 2차 대회에서 연속 동메달을 수확한 원윤종(30)-서영우(24·이상 경기도연맹)와 3차 대회에서 동메달을 따낸 ‘스켈레톤의 간판’ 윤성빈(22·한국체대)이 그 주인공이다.

이미지 확대
독일에서 열린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IBSF) 월드컵에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봅슬레이의 원윤종(왼쪽)-서영우(가운데), 스켈레톤의 윤성빈이 15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뒤 팬들의 환호에 활짝 웃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독일에서 열린 국제봅슬레이·스켈레톤연맹(IBSF) 월드컵에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봅슬레이의 원윤종(왼쪽)-서영우(가운데), 스켈레톤의 윤성빈이 15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뒤 팬들의 환호에 활짝 웃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이들은 이제 갓 걸음마를 뗀 한국 썰매를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유럽과 대등한 반열에 올려놓았다. 이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평창의 ‘예비 스타’들은 1~3차 대회에 대한 소회와 앞으로의 포부 등을 밝혔다.

원윤종은 이번 대회에서 얻은 가장 큰 소득에 대해 “그동안 세계 랭킹 1, 2위 팀인 독일, 라트비아 선수들을 언제 쫓아갈지 걱정했었다”며 “그러나 이번에 그 선수들과의 격차가 많이 좁혀지면서 앞으로는 이길 수 있겠다는 자심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윤성빈도 “이번 시즌 시작이 좋지 않아 심리적으로 위축된 부분이 있었다”며 “하지만 대회가 진행될수록 제 기량을 찾을 수 있었던 것 같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스스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냉철한 판단도 있었다. 서영우는 “랭킹 1~2위를 언젠가 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스타트에서 앞서야 한다”면서 “체력 훈련을 통해 스타트 랭킹 1위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성빈도 “스프린트(썰매 타기 전 도약)가 문제였는데 여름 훈련을 통해 다소 나아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국내 훈련장 부족으로 연습에 어려움을 겪었던 선수들은 내년 2월 완성되는 평창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트랙에 대한 기대감도 숨기지 않았다.

서영우는 “꿈에 그리던 트랙이 우리나라에도 생기게 돼 기쁘다”며 “안 타 봐서 실감은 안 나지만 빨리 타 보고 싶다”고 기대했다.

원윤종은 “그동안 올림픽 개최국들이 (썰매 종목의) 메달을 많이 가져갔다”며 “우리나라도 트랙이 생기니 그곳에서 외국 선수들이 40번 타면 우리는 200번, 300번 혹은 그 이상 타는 피나는 노력으로 다른 나라 선수들이 따라올 수 없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윤성빈은 “경기장이 지어지면 끊임없이 연습할 것이다. 눈 감고도 탈 정도가 되면 평창올림픽에서도 반드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을 것”이라며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봅슬레이·스켈레톤 대표팀은 국내에서 체력 훈련과 스타트 연습에 매진한 뒤 새해 1월 초 출국해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리는 월드컵 4차 대회에서 다시 메달에 도전한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5-12-1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